한화테크윈이 민수사업의 부진에서 올해도 빠져나오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조철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9일 “한화테크윈은 주요 민수사업에서 계속 적자를 내고 있는데 올해도 흑자전환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 신현우 한화테크윈 항공방산부문 대표이사(왼쪽), 이만섭 한화테크윈 시큐리티부문 대표이사. |
한화테크윈은 산업용장비부문에서 칩마운터를 생산해 판매한다. 칩마운터는 전자회로기판 위에 초정밀 부품을 자동으로 위치시키는 장비로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첨단 IT산업에 필수적인 설비다.
국내 칩마운터시장에서는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한화테크윈은 수량기준으로 지난해 3분기 말에 국내시장에서 34.4%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보면 일본 파나소닉과 후지, 네덜란드 ASM 등 3개 기업이 글로벌 시장점유율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한화테크윈은 이 기업들보다 칩마운터시장의 후발주자로 꼽혀 점유율을 확대하기위해 출혈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화테크윈은 2015~2016년 여덟분기 동안 다섯분기나 -10~-30%대의 마이너스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나머지 세분기도 영업이익률이 1% 미만을 기록해 적자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조 연구원은 “산업용장비부문은 전방산업의 뚜렷한 회복신호가 없는 점을 감안할 때 한화테크윈은 올해도 민수사업을 흑자로 전환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화테크윈은 지난해 방산기업을 인수한 효과를 봐 올해 실적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화테크윈은 지난해 한화디펜스(옛 두산DST)와 한화시스템(옛 한화탈레스)을 인수했는데 올해 재무제표에 실적이 모두 반영된다.
한화테크윈은 올해 매출 4조4640억 원, 영업이익 1848억 원을 낼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난해 실적 추정치보다 매출은 26.1%, 영업이익은 20.8% 급증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