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재명 대통령이 한일 정상회담을 앞우고 일본 언론 인터뷰에서 박근혜·윤석열 정부가 일본과 맺은 위안부·강제징용 합의를 뒤집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21일 공개된 일본 요미우리 신문 인터뷰에서 위안부 합의와 징용 노동자 배상 문제를 두고 “한국 국민으로서는 매우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전 정권의 합의”라면서도 “국가로서 약속이므로 뒤집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재명 요미우리 인터뷰, "위안부 합의 뒤집는 것 바람직하지 않아" "일본 수산물 수입은 시기상조"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요미우리 신문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일본 요미우리 신문>


다만 일제 강점기 시절 이뤄졌던 위안부와 강제징용 문제를 두고 이 대통령은 “(한국 국민에게는) 가슴 아픈 주제”라며 “되도록 현실을 인정하고 서로 이해하려고 노력해 대립적으로 되지 않도록 하면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근혜 정부는 2015년 일본 아베 신조 정권과 위안부 문제에 대해 ‘최종적, 불가역적 해결’이라는 데 합의했다. 윤석열 정부는 2023년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 소송의 해결책으로 일본에 한국 정부 산하 재단이 일본 기업 대신 배상금 등을 지급하는 '제3자 변제안'을 제안한 뒤 추진해 왔다.

요미우리 신문은 이 대통령의 발언은 한국과 일본이 인간적 관점에서 위안부와 강제징용 문제를 논의하고 일본 측에 한국 국민의 정서에 대한 이해를 요구한 것이라고 바라봤다.

이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이 서로에게 매우 중요한 존재라며 협력할 분야가 많다고 짚었다.

이 대통령은 “(일본은) 매우 중요한 존재”라며 “한국도 일본에 유익한 존재가 될 것으로 생각하고 양측에 이익이 되는 길을 발굴해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넓혀 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본 총리도 시간이 허락할 때 한국을 찾고 수시로 왕래하는 등 실질적 협력을 강화하고자 한다”며 한일 정상이 수시로 양국을 오가는 셔틀외교를 강화하고 싶다는 뜻을 보였다.

다만 일본이 요구하고 있는 후쿠시마 오염 지역에서 생산된 수산물 수입은 지금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일본 일부 지역 수산물에 대한 한국 소비자의 신뢰는 개별 문제”라며 “한국 국민의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핵무기는 ‘동결→축소→비핵화’라는 3단계를 거쳐 해결해야 한다고 바라봤다.

이 대통령은 북한의 핵 개발과 관련해 “정책적 방향은 한반도의 비핵화”라며 “1단계는 핵과 미사일에 대한 동결, 2단계는 축소, 3단계는 비핵화”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오는 23일 일본을 방문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는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