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포스코퓨처엠은 21일 프리미엄 전기차용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와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 파일럿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현재 니켈 함량이 80% 수준인 하이니켈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는 니켈 함량이 95% 이상인 제품으로 에너지밀도를 크게 높였다.
 
포스코퓨처엠 울트라 하이니켈·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 개발, 양극재 포트폴리오 완성

▲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 결정구조(SEM) <포스코퓨처엠>


회사 측은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는 주행거리를 극대화한 프리미엄 소재로, 글로벌 주요 시장의 프리미엄급 전기차는 물론 도심항공교통(UAM)에도 탑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UAM을 비롯한 미래 모빌리티는 인공지능(AI) 활용 확대와 자율주행성능 고도화로 다량의 전력 사용이 필수적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에너지밀도를 극대화한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존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는 니켈 함량이 높아 상대적으로 열안정성이 낮고 배터리 수명도 짧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혔다. 회사는 주요 원료를 하나의 단위 입자 구조로 결합한 단결정 소재를 기존 다결정 소재와 복합 사용해 안정성과 수명 문제를 해결했다.

스탠다드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한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 파일럿 개발도 완료했다.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는 고가인 니켈 함량 비율을 60% 수준으로 낮추고, 고전압을 통해 에너지밀도를 끌어올린 양극재다.

회사 측은 망간 비율을 높이고 단결정화를 통해 충·방전 시 발생하는 수축과 팽창 문제를 최소화해 안정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울트라 하이니켈과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 파일럿 개발에 이어 국내외 고객사들의 요청 시 적기에 생산·공급할 수 있도록 양산 기술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