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학술대회 IMID서 디스플레이 미래상 제시, "OLED가 AI 시대 가장 적합"

▲ 최현철 LG디스플레이 사업부장이 20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IMID 2025' 개막식에서 '화면을 넘어선 인지 인터페이스로서의 디스플레이'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LG디스플레이 >

[비즈니스포스트] LG디스플레이가 국내 최대 규모의 디스플레이 학술대회 'IMID 2025'에서 인공지능(AI) 시대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기술과 미래상을 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IMID는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가 주관하는 행사로, 매년 2천여 명의 디스플레이 분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국내 최대 규모의 디스플레이 학술대회다. 올해는 20일부터 사흘 동안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다.
 
최현철 LG디스플레이 사업부장은 이날 개막식에서 '화면을 넘어선 인지 인터페이스로서의 디스플레이'를 주제로 AI 시대를 맞이하여 역할이 커진 디스플레이의 미래상과 관련해 기조연설을 했다.

최 사업부장은 "AI의 발달로 디스플레이는 인간과 AI가 마주하는 소통의 창이 됐다"며 AI 혁신을 주도할 디스플레이 기술과 형태, 진화 방향으로 △인터페이스의 진화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공간의 진화 △지속가능한 진화를 위한 조건을 제시했다.

그는 "AI가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기 시작하면서 센서와 디스플레이 간 융합이 중요해졌다"며 "나아가 인간의 의도와 감정까지 이해하는 미래에는 이를 정확히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본질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더 밝고 선명해 정확한 색을 표현하는 고휘도·고해상도·고색재현율 기술이 필수임을 강조했다.

최 사업부장은 "이를 위해 4세대 OLED 기술에 적용된 최적의 광학구조와 탠덤 OLED와 같은 적층 구조 개발이 지속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공간의 진화를 강조했다. '자유로운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슬라이더블 OLED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예로 들었다.

슬라이더블 OLED는 패널이 종이처럼 얇아 자동차 천장과 같은 좁은 공간에 숨길 수 있는 디스플레이다. 밝고 선명한 화면으로 영화 감상이나 화상 회의가 가능해 시간과 공간 한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는 늘이기, 접기, 비틀기 등 어떤 형태로든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궁극의 프리폼디스플레이다. LG디스플레이는 2024년 11월 업계 최고 수준의 화면 연신율(약 50%)을 구현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선보였다.

지속가능한 진화를 위한 조건도 설명했다.

먼저 AI가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노출하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출력해 사생활을 보호하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타인의 시선을 감지하고 필요한 사용자에게만 정보를 보여주는 기술로 시야각 제어 기술인 SPM(스위처블 프라이버시 모드)을 소개했다.

최 사업부장은 "AI 시대에 사용자의 의도를 맥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확히 구현하고, 기술적 진화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가장 적합한 디스플레이는 바로 OLED"라며 "OLED는 AI 확산과 함께 디스플레이 산업의 혁신과 확장을 주도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연설을 마무리했다.

LG디스플레이는 특별 전시장을 마련해 '18인치 차량용 슬라이더블 OLED'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비롯해, IMID 학회에서 '올해의 디스플레이 대상'으로 선정된 '83인치 4세대 OLED TV 패널'과 게이밍OLED 등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