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자체개발한 새 스마트폰 ‘픽셀’ 시리즈가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단종으로 발생한 수요를 대거 확보하며 성공적으로 진출했다.
구글이 운영체제 경쟁력으로 확보한 장점을 스마트폰시장의 점유율 확대로 연결하기 위해 스마트폰업체를 다시 인수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 |
||
▲ 선다 피차이 구글 CEO. |
모건스탠리는 픽셀과 픽셀XL의 올해 판매량이 30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애플과 삼성전자 등 선두업체에 크게 밀리지만 LG전자의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맞먹는 수준이다.
내년부터 구글이 픽셀 라인업을 태블릿과 노트북 등으로 확대하며 인지도를 쌓고 출시국가를 확대하는 등 본격적인 사업확대에 나서면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 구글이 모토로라를 인수한 뒤 2년 만에 중국 레노버에 매각하며 자체 스마트폰사업을 포기했지만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경쟁력이 점점 높아지며 자체 하드웨어에 다시 도전장을 내민 것으로 분석된다.
구글은 넥서스 시리즈의 경우 삼성전자와 LG전자, 화웨이 등 주요업체에 위탁생산을 맡겨왔지만 픽셀 스마트폰의 개발과 생산은 대만 HTC와 협업하며 하드웨어분야에 깊이 관여했다.
넥서스 시리즈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새 버전이 나올 때 맞춰 출시되는 모델로 운영체제를 홍보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픽셀 시리즈의 경우 자체기능이 강해져 실제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구글은 픽셀 시리즈에 자체개발한 새 인공지능 음성인식 서비스를 탑재했다. 삼성전자나 LG전자 등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업체에 제공하지 않은 기술을 독자적으로 탑재해 차별화를 노린 셈이다.
애플을 제외한 글로벌 스마트폰업체는 구글 안드로이드에 의존하고 있다. 구글이 제조사에 제공하는 기능을 제한할 경우 운영체제의 경쟁력을 앞세워 시장지배력을 확대할 수 있다.
구글이 앱 등 콘텐츠 수익을 확보하려면 글로벌 제조사를 통해 점유율을 확보해야 하는 만큼 이른 시일 안에 이런 극단적 전략을 쓸 이유는 적지만 가능성은 열려있는 셈이다.
삼성전자와 화웨이 등 주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업체는 이미 이런 가능성에 대비해 자체 운영체제 개발에 나서고 있다.
물론 구글이 하드웨어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삼성전자 등 업체에 맞경쟁을 벌일 가능성이 낮다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구글이 장기적으로 애플처럼 운영체제 경쟁력과 하드웨어를 앞세워 스마트폰시장에서 입지를 확보하기 위해 인수합병에 나서면서 적극적으로 스마트폰사업을 키울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글로벌 스마트폰시장이 삼성전자와 애플, 그리고 중국업체로 재편되고 있어 위기를 맞고있는 스마트폰업체들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인수합병 후보기업이 속속 생겨나고 있다.
![]() |
||
▲ 구글 픽셀 스마트폰에 적용된 음성기반 인터페이스. |
레노버도 글로벌 PC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구글과 협력해 증강현실 스마트폰 ‘팹2’를 내놓기도 했지만 스마트폰사업에서 경쟁력 확보에 고전하고 있다.
구글이 이런 협력관계를 더욱 확대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이 업체들의 스마트폰부문을 인수할 경우 픽셀 스마트폰은 더욱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구글이 LG전자의 스마트폰사업을 인수할 가능성이 제기되며 LG전자 주가가 급등하는 해프닝도 일어나기도 했는데 그만큼 구글의 인수합병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시장은 바라보고 있는 셈이다.
중국 경제지 마이드라이버스는 “HTC가 이르면 내년 초 스마트폰사업을 매각하기 위해 인수자를 찾고 있다는 말이 나온다”며 “현재로서는 구글이 가장 유력한 후보”라고 보도했다.
전자전문매체 안드로이드가이스는 “구글 안드로이드의 위상은 이전에 모토로라를 포기했을 때와 확실히 다르다”며 “HTC 등 기술력을 갖췄지만 경쟁력 확보에 고전하는 스마트폰업체를 인수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진단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