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4월 퇴진’을 놓고 여야가 충돌하며 정치권이 출렁이고 있다.

새누리당은 ‘4월 퇴진-6월 조기대선’을 당론으로 채택했는데 비박계를 중심으로 균열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새누리당 비박계를 향해 '4월 퇴진'이 아닌 '즉각 탄핵'에 동참하라고 압박했다.

  '박근혜 4월 퇴진' 놓고 여야 첨예하게 맞서  
▲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국회가 대통령의 4월 퇴진을 결정했는데도 대통령이 지키지 않는다면 우리당 의원 전원이 의원직 사퇴 각오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4월 퇴진-6월 대선이 가장 합리적인 결정”이라며 “(여야가 합의하면)반드시 대통령이 이행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이 3차 대국민담화에서 스스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며 “그런데도 기어이 탄핵만으로 가겠다는 저의를 모르겠다”며 야당을 비판했다.

정 원내대표의 발언은 새누리당 내 탄핵동조 움직임을 차단하고 이른바 ‘질서있는 퇴진’에 방점을 두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 비박계는 4월 퇴진 문제와 관련해 7일 오후 6시까지 확답을 줄 것을 박 대통령에게 요구했다.

정병국 의원은 “박 대통령이 4월 퇴진을 수용했는데도 야당이 이를 거부해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9일 탄핵에 동참한다는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비주류 안에서도 탄핵을 놓고 입장은 갈린다.

정병국 유승민 의원 등은 여야 협상이 실패할 경우 탄핵표결에 참여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김무성 전 대표 등은 대통령이 퇴진시점을 못박으면 굳이 탄핵에 나서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유승민 의원은 “저는 일관된 입장으로 여야협상이 안 되면 탄핵에 동참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야3당은 이날 대통령의 4월 퇴진 여부와 관계없이 9일 탄핵안 표결을 강행하기로 합의했다.

박 대통령이 퇴진시점을 공표했는데도 여야협상이 결렬될 경우 비박계 내부에서 9일 탄핵표결에 얼마나 동참할지가 ‘탄핵정국’의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탄핵의 키를 쥐고 있는 비박계와 주말회동을 타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비박계의 ‘탄핵 대오’를 공략하기 위한 카드가 아니겠느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박근혜 4월 퇴진' 놓고 여야 첨예하게 맞서  
▲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박지원 국민의당 비대위원장은 “7일 이전 박 대통령이 또 무엇인가 말씀을 던지리라 생각한다”며 “그렇지만 어찌됐든 우리는 대통령의 거짓말.함정에 빠져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4월 퇴진-6월 대선’은 모두 우리 발목을 잡으려는 낡은 정치의 발버둥”이라며 수용불가 입장을 재확인했다.

문 전 대표는 2일 국회 앞에서 ‘문재인의 호소’ 행사를 열고 4월 퇴진론에 대해 “국민의 뜻을 왜곡해 다시 권력을 잡으려는 기회주의적 정략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며 “끝까지 촛불민심을 외면한다면 국민적 분노 앞에서 엄중한 심판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문 전 대표는 “새누리당은 석고대죄로 통렬히 반성해야 한다”며 “속죄하는 방법은 탄핵에 동참한 것뿐이며 타협이나 협상의 문제가 아니다”고 압박했다.

그는 9일 탄핵안 표결과 관련해 “온 국민의 뜻이 대통령의 즉각퇴진으로 모아져 있는데도 국회가 대통령을 탄핵하지 못한다면 국회가 대의기구로서 자격이 없다”며 “나는 탄핵을 무산시키려는 어떠한 시도에도 단호히 맞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재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