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NHN의 협업툴 자회사 NHN두레이는 자사 협업툴 '두레이'가 국내 협업툴 최초로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됐다고 15일 밝혔다.
NHN두레이에 따르면 두레이는 지난해 12월24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신규 혁신금융서비스 중 '내부업무용 단말기에서 SaaS 이용' 항목에 이름을 올렸다.
혁신금융서비스 제도는 현행 규제에 막힌 혁신적인 아이디어, 서비스에 한시적인 규제 특례를 부여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이번 혁신금융 서비스 지정으로 이르면 이번 달부터 우리금융지주, 우리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IBK기업은행 4곳은 내부 업무망에서 협업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두레이를 활용한다.
금융기관 내부망에 협업툴을 SaaS로 제공하는 것은 국내 협업툴 중 처음이다. 두레이는 금융사 4곳에 협업, 메일, 메신저, 화상회의, 지식관리 등 통합 기능을 비롯해 두레이 AI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백창열 대표는 "두레이는 금융 시장 확대를 위해 발빠르게 움직였고, 그 결과 두레이의 높은 기술력과 유연한 서비스, 강력한 보안성을 인정받았다"며 "이번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으로 두레이가 금융기관의 디지털 기반 업무 문화 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고객사 확장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
NHN두레이에 따르면 두레이는 지난해 12월24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신규 혁신금융서비스 중 '내부업무용 단말기에서 SaaS 이용' 항목에 이름을 올렸다.

▲ NHN두레이는 자사 협업툴 두레이가 금융위 혁신금융서비스에 지정됐다고 15일 전했다. < NHN두레이 >
혁신금융서비스 제도는 현행 규제에 막힌 혁신적인 아이디어, 서비스에 한시적인 규제 특례를 부여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이번 혁신금융 서비스 지정으로 이르면 이번 달부터 우리금융지주, 우리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IBK기업은행 4곳은 내부 업무망에서 협업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두레이를 활용한다.
금융기관 내부망에 협업툴을 SaaS로 제공하는 것은 국내 협업툴 중 처음이다. 두레이는 금융사 4곳에 협업, 메일, 메신저, 화상회의, 지식관리 등 통합 기능을 비롯해 두레이 AI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백창열 대표는 "두레이는 금융 시장 확대를 위해 발빠르게 움직였고, 그 결과 두레이의 높은 기술력과 유연한 서비스, 강력한 보안성을 인정받았다"며 "이번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으로 두레이가 금융기관의 디지털 기반 업무 문화 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고객사 확장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