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야당의 탄핵을 통한 정치적 해결을 원하는 것일까?

청와대가 검찰의 중간결과 발표를 놓고 검찰수사를 거부하고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통한 정치적 해결 쪽으로 가닥을 잡은 듯한 뜻을 내비쳤다.

  박근혜, 탄핵과 헌법재판소를 최후의 보루로 정했나  
▲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이 20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검찰 중간 수사결과 발표에 대한 입장을 브리핑하고 있다. <뉴시스>
야권이 탄핵을 주도할 경우 시간도 벌고 헌법재판소의 유리한 판단도 구해볼 수 있다고 보는 듯 하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20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헌법상 법률상 대통령의 책임 유무를 명확히 가릴 수 있는 합법적 절차에 따라 하루빨리 이 논란이 매듭지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런 발언은 정치권에서 논의되는 탄핵이 진행되고 헌법재판소에서 판단을 구하는 뜻으로 비쳐진다.

청와대는 검찰수사를 거부하고 특검수사를 받겠다는 입장을 내놓았지만 특검수사에 협조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정 대변인은 “검찰의 수사가 공정하고 정치적 중립을 지켰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검찰수사를 거부했다.

그는 “대통령이 이번 주에 조사를 받겠다는 뜻을 밝혔음에도 검찰이 성급하고 무리한 수사발표를 해 대통령의 입장을 설명할 기회를 갖지 못했다”며 “현재 전혀 입증되지 않은 혐의가 사실인 것처럼 오해되거나 정치적으로 악용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정 대변인은 “박 대통령은 야당이 추천한 특검수사까지도 아무 조건없이 수용했다”며 “앞으로 진행될 특검수사에 적극 협조해서 무고함을 밝히겠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