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시가 정비사업에 속도를 내기 위해 현장에서 정비사업 조합들과 직접 소통을 확대한다.

서울시는 22일 은마아파트, 방배 신삼호, 이촌 왕궁 등 8곳 정비사업 조합과 간담회를 진행한다고 20일 밝혔다.
 
서울시 정비사업 조합과 직접 소통 확대, 22일 은마아파트 포함 8곳과 간담회

▲ 올해 하반기 모두 22곳의 조합과 직접 만난 서울시는 22일 은마아파트, 방배 신삼호, 이촌 왕궁 등 8곳의 조합과 간담회를 진행한다.<연합뉴스>


간담회에는 한병용 주택실장 및 관계 공무원들과 은마아파트, 방배 신삼호, 이촌 왕궁 등 재건축 3개소와 고척4구역, 면목7구역, 신정동 1152, 영등포 1-12, 마천4구역 등 재개발 5개소까지 모두 8곳의 정비사업 조합장들이 참석한다.

한 실장은 “정비사업은 복잡한 절차와 다양한 이해관계로 얽혀있지만 주민들이 서울시와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고민하다 보면 해결책을 찾고 빠르게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주민과 소통하며 원활한 정비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부분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올해 하반기 들어 22곳의 정비사업 조합과 간담회를 진행했다.

서울시와 간담회를 진행한 정비사업 조합은 △반포주공1단지(1·2·4주구), 청담삼익, 상계주공5단지, 성동 장미, 광진 중곡, 망우1구역, 압구정2구역, 용산 한강맨션, 신반포2차, 미성크로바, 방배5구역 등 재건축 11개소 △대조1구역, 흑석9구역, 노량진8구역, 성수1구역, 불광5구역, 미아11구역, 장위10구역, 신길2구역, 봉천14구역, 흑석11구역, 노량진4구역 등 재개발 11개소다.

간담회에 참석한 조합 대부분은 ‘사업기간 단축’을 정비사업 추진의 가장 중요 요소로 꼽았다. 고금리 여파와 급등한 공사비로 조합의 금융부담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조합의 요구에 대응해 신속통합기획제도 도입 당시 시민들과 약속했던 2년 내 정비구역 지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10월 재건축사업에 ‘단계별 처리기한제’를 도입했다. 

정비사업 통합심의위원회를 비롯해 도시계획위원회, 건축위원회 등 정비사업 관련 위원회들의 심의 결과는 위원회 개최 이후 가능한 신속하게 조합에 통지한다는 방침을 정하기도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조합의 문의 또는 요청사항 가운데 법령해석 등 중앙부처의 협조가 필요한 사항은 서울시에서 해당 중앙부처로 직접 질의하고 법령 개정 중인 사항은 추진 현황을 꾸준히 모니터링해 조합에 공유하는 등 지원을 지속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