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연말 2%에 가까워 질 것으로 전망됐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물가상황 점검회의에서 "향후 물가 경로는 근원물가가 2% 부근에서 안정된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소비자물가도 연말로 갈수록 2%에 근접할 것이다“고 말했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2024년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4.69(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3% 상승했다. 2021년 1월(0.9%) 이후 3년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해 근원물가를 나타내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1.7% 상승했다.
김 부총재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대 초중반, 근원물가 상승률은 1%대 후반으로 둔화했다”며 “물가안정의 기반이 견고해지는 과정이다”고 바라봤다.
다만 “지난해 말 유가 하락에 따른 기저 효과, 유류세 인하율 축소 등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소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물가 상승률이 1%로 안정된 가운데 유가 흐름 등에 따라 연말 2% 가까이 소폭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유가·환율 움직임과 미국 대선 결과, 내수 흐름 등을 점검해 11월 경제전망에서 자세한 물가상승률 전망경로를 내놓기로 했다. 조혜경 기자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물가상황 점검회의에서 "향후 물가 경로는 근원물가가 2% 부근에서 안정된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소비자물가도 연말로 갈수록 2%에 근접할 것이다“고 말했다.

▲ 한국은행이 올해 연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에 근접할 것으로 바라봤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2024년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4.69(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3% 상승했다. 2021년 1월(0.9%) 이후 3년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해 근원물가를 나타내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1.7% 상승했다.
김 부총재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대 초중반, 근원물가 상승률은 1%대 후반으로 둔화했다”며 “물가안정의 기반이 견고해지는 과정이다”고 바라봤다.
다만 “지난해 말 유가 하락에 따른 기저 효과, 유류세 인하율 축소 등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소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물가 상승률이 1%로 안정된 가운데 유가 흐름 등에 따라 연말 2% 가까이 소폭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유가·환율 움직임과 미국 대선 결과, 내수 흐름 등을 점검해 11월 경제전망에서 자세한 물가상승률 전망경로를 내놓기로 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