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바이오팜 주식 투자의견이 매수로 유지됐다.
2분기 미국에서 뇌전증치료제 엑스코프리 판매 호조에 힘입어 영업손익에서 흑자로 전환한 것으로 파악됐다.
하태기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17일 SK바이오팜 목표주가를 13만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16일 SK바이오팜 주가는 8만18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하 연구원은 “SK바이오팜이 미국에서 올해 초 약품가격 인상효과로 매출이 계속해서 급성장하고 있다”며 “특히 1분기보다 마케팅비용이 많은 계절적 요인을 반영했음에도 영업이익이 1분기와 비교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바라봤다.
SK바이오팜은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200억 원, 영업이익 132억 원을 낸 것으로 추산됐다. 2023년 2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55.8% 늘어나고 흑자로 돌아서는 것이다.
2분기 실적은 뇌전증치료제 엑스코프리가 이끈 것으로 파악됐다.
엑스코프리는 미국에서 2분기 매출 990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1년 전보다 56.2% 늘어난 것이다.
엑스코프리의 적응증 확대를 추진하면서 엑스코프리의 고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하 연구원은 “엑스코프리의 미국 매출 증가는 이어질 것”이라며 “앞으로 엑스코프리(성분명 세노바메이트) 적응증 및 수출지역 확대를 추진하고 있어 앞으로 주가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유지한다”고 바라봤다.
SK바이오팜은 매출 증가를 위해 엑스코프리의 전신발작(PGTC) 및 투약가능 연령층(소아) 등 확대를 위해 임상 3상을 마치고 2025년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약허가심사(NDA)를 신청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바이오팜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5180억 원, 영업이익 75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3년과 비교해 매출은 45.91% 늘어나고 흑자 전환하는 것이다. 장은파 기자
2분기 미국에서 뇌전증치료제 엑스코프리 판매 호조에 힘입어 영업손익에서 흑자로 전환한 것으로 파악됐다.

▲ SK바이오팜이 2분기 미국에서 뇌전증치료제 매 호조에 힘입어 영업이익을 내 흑자전환한 것으로 추산됐다.
하태기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17일 SK바이오팜 목표주가를 13만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16일 SK바이오팜 주가는 8만18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하 연구원은 “SK바이오팜이 미국에서 올해 초 약품가격 인상효과로 매출이 계속해서 급성장하고 있다”며 “특히 1분기보다 마케팅비용이 많은 계절적 요인을 반영했음에도 영업이익이 1분기와 비교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바라봤다.
SK바이오팜은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200억 원, 영업이익 132억 원을 낸 것으로 추산됐다. 2023년 2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55.8% 늘어나고 흑자로 돌아서는 것이다.
2분기 실적은 뇌전증치료제 엑스코프리가 이끈 것으로 파악됐다.
엑스코프리는 미국에서 2분기 매출 990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1년 전보다 56.2% 늘어난 것이다.
엑스코프리의 적응증 확대를 추진하면서 엑스코프리의 고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하 연구원은 “엑스코프리의 미국 매출 증가는 이어질 것”이라며 “앞으로 엑스코프리(성분명 세노바메이트) 적응증 및 수출지역 확대를 추진하고 있어 앞으로 주가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유지한다”고 바라봤다.
SK바이오팜은 매출 증가를 위해 엑스코프리의 전신발작(PGTC) 및 투약가능 연령층(소아) 등 확대를 위해 임상 3상을 마치고 2025년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약허가심사(NDA)를 신청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바이오팜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5180억 원, 영업이익 75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3년과 비교해 매출은 45.91% 늘어나고 흑자 전환하는 것이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