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KCC가 산업 현장에서 나오는 제조 부산물을 가공한 재활용 플라스틱을 개발해 제품에 적용한다.
KCC는 유리장섬유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정제해 만든 분말과 시중의 즉석밥 용기를 함께 활용한 신소재(에코엠파운드)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유리장섬유는 무기원료를 혼합해 고온에서 녹인 뒤 실 형태로 뽑아낸 것이다. 전기전자, 자동차 등 많은 사업에 재료로 쓰인다.
유리장섬유를 생산하는 KCC 세종공장 연구팀은 유리장섬유 부산물을 정제한 가공분말(에코스노우)과 즉석밥 용기(폴리프로필렌)를 배합했을 때 결정 속도가 빠르고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KCC는 이번에 개발한 신소재가 100% 재활용 원료로서 기존 플라스틱을 대체해 △신규 플라스틱 저감 △즉석밥 용기 재활용을 통한 생활 폐기물 감소 △제품 생산 부산물 저감 및 폐기비용 축소 등 여러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CC는 이 신소재를 물티슈 뚜껑(캡)에 활용하고 있다. 기존 물티슈 뚜껑은 재활용 플라스틱과 새 플라스틱을 절반씩 섞어 제조했는데 현재는 신소재를 전부 적용한다.
이 신소재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에서 합성수지 재질 성적서를 받았다. 이는 순환자원이라는 인정을 받은 것으로 KCC는 향후 이 신소재의 재활용도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한상훈 KCC 세종공장 개발팀장은 “18개월이라는 개발 기간을 통해 100% 재활용 원료를 활용한 신소재를 개발하고 특허 출원도 진행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세종공장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하나도 버리지 않고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
KCC는 유리장섬유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정제해 만든 분말과 시중의 즉석밥 용기를 함께 활용한 신소재(에코엠파운드)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 KCC의 유리장섬유 부산물 재활용 신소재(ECOmpound)가 적용된 깨끗한나라 생분해 물티슈 뚜껑(캡). < KCC >
유리장섬유는 무기원료를 혼합해 고온에서 녹인 뒤 실 형태로 뽑아낸 것이다. 전기전자, 자동차 등 많은 사업에 재료로 쓰인다.
유리장섬유를 생산하는 KCC 세종공장 연구팀은 유리장섬유 부산물을 정제한 가공분말(에코스노우)과 즉석밥 용기(폴리프로필렌)를 배합했을 때 결정 속도가 빠르고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KCC는 이번에 개발한 신소재가 100% 재활용 원료로서 기존 플라스틱을 대체해 △신규 플라스틱 저감 △즉석밥 용기 재활용을 통한 생활 폐기물 감소 △제품 생산 부산물 저감 및 폐기비용 축소 등 여러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CC는 이 신소재를 물티슈 뚜껑(캡)에 활용하고 있다. 기존 물티슈 뚜껑은 재활용 플라스틱과 새 플라스틱을 절반씩 섞어 제조했는데 현재는 신소재를 전부 적용한다.
이 신소재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에서 합성수지 재질 성적서를 받았다. 이는 순환자원이라는 인정을 받은 것으로 KCC는 향후 이 신소재의 재활용도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한상훈 KCC 세종공장 개발팀장은 “18개월이라는 개발 기간을 통해 100% 재활용 원료를 활용한 신소재를 개발하고 특허 출원도 진행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세종공장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하나도 버리지 않고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