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랩지노믹스가 유전체 진단사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권혁중 전 이원다이애그노믹스(EDGC) 출신 임원을 영입했다.
랩지노믹스는 권혁준 전 EDGC AI(인공지능)·BI(바이오인포매틱스)임원을 랩지노믹스 BI분석실·전략사업본부 본부장 겸 상무로 영입했다고 5일 밝혔다.
권 본부장은 1998년부터 19년 동안 LG전자, SK텔레텍 등에서 IT통신 분야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주로 통신 프로토콜 및 펌웨어 개발을 담당하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개발 경험을 보유한 IT 전문가다.
2016년부터는 EDGC의 AI·BI 분야에서 NGS(차세대 염기서열분석기법)와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검사 모델 개발을 이끌었다.
권 본부장은 혈액을 채취하는 비침습형 검사인 액체생검 파이프라인을 포함해 EDGC의 신규 서비스 설계 및 개발을 담당했다. 또한 의학부 역할을 겸임하며 해외 세일즈 및 해외 학회 발표를 담당하는 등 실무진과 내·외부 이해 관계자들, 연구진 사이의 가교 역할을 수행했다.
랩지노믹스 관계자는 “권 본부장이 업계에서 쌓아온 비침습 산전 기형아 검사(NIPT), 액체생검 등 다양한 유전체 진단 사업 경험을 활용해 회사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며 “비침습 산전 기형아 검사를 비롯해 마이크로바이옴 검사를 포함한 개인유전자검사(PGS) 시장 공략을 통해 글로벌 분자진단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
랩지노믹스는 권혁준 전 EDGC AI(인공지능)·BI(바이오인포매틱스)임원을 랩지노믹스 BI분석실·전략사업본부 본부장 겸 상무로 영입했다고 5일 밝혔다.

▲ 랩지노믹스가 5일 유전체 진단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권혁중 전 이원다이애그노믹스 임원(사진)을 전략사업본부 본부장 겸 상무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랩지노믹스>
권 본부장은 1998년부터 19년 동안 LG전자, SK텔레텍 등에서 IT통신 분야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주로 통신 프로토콜 및 펌웨어 개발을 담당하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개발 경험을 보유한 IT 전문가다.
2016년부터는 EDGC의 AI·BI 분야에서 NGS(차세대 염기서열분석기법)와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검사 모델 개발을 이끌었다.
권 본부장은 혈액을 채취하는 비침습형 검사인 액체생검 파이프라인을 포함해 EDGC의 신규 서비스 설계 및 개발을 담당했다. 또한 의학부 역할을 겸임하며 해외 세일즈 및 해외 학회 발표를 담당하는 등 실무진과 내·외부 이해 관계자들, 연구진 사이의 가교 역할을 수행했다.
랩지노믹스 관계자는 “권 본부장이 업계에서 쌓아온 비침습 산전 기형아 검사(NIPT), 액체생검 등 다양한 유전체 진단 사업 경험을 활용해 회사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며 “비침습 산전 기형아 검사를 비롯해 마이크로바이옴 검사를 포함한 개인유전자검사(PGS) 시장 공략을 통해 글로벌 분자진단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