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CEO(최고경영자)가 직접 챙겨주기 바란다.”
이복현 금융강독원장은 24일 증권업계 CEO와 가진 간담회 자리에서 CEO의 역할과 책임을 계속해서 강조했다.
이 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증권사의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 리스크가 금융시장 불안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CEO께서 직접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부실 사업장 과감한 정리 △12월 결산시 충당금 충분히 적립 △PF 예상손실 철저하게 인식 등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최근 몇몇 사례와 같이 일부 회사의 리스크관리 실패로 인해 금융시장에 충격요인으로 작용할 경우엔 해당 증권사와 경영진에 대해 엄중하고 합당한 책임을 물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금투업계에 만연한 성과 만능주의를 타파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 원장은 “최근 검사 결과 다수의 금융투자 회사가 다양한 형태의 불건전 영업행위와 사익추구 행위를 하고 있었다”며 “이러한 상황을 업계 관행이라거나 일부의 일탈행위 정도로 과소평가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맺음말에서 “금투업계의 신뢰회복을 위해 리스크 관리와 내부통제에 대한 CEO의 적극적인 관심과 의지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
이복현 금융강독원장은 24일 증권업계 CEO와 가진 간담회 자리에서 CEO의 역할과 책임을 계속해서 강조했다.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4일 증권사 CEO들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 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증권사의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 리스크가 금융시장 불안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CEO께서 직접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부실 사업장 과감한 정리 △12월 결산시 충당금 충분히 적립 △PF 예상손실 철저하게 인식 등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최근 몇몇 사례와 같이 일부 회사의 리스크관리 실패로 인해 금융시장에 충격요인으로 작용할 경우엔 해당 증권사와 경영진에 대해 엄중하고 합당한 책임을 물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금투업계에 만연한 성과 만능주의를 타파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 원장은 “최근 검사 결과 다수의 금융투자 회사가 다양한 형태의 불건전 영업행위와 사익추구 행위를 하고 있었다”며 “이러한 상황을 업계 관행이라거나 일부의 일탈행위 정도로 과소평가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맺음말에서 “금투업계의 신뢰회복을 위해 리스크 관리와 내부통제에 대한 CEO의 적극적인 관심과 의지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