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지난해 11월 통화량이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기업과 가계 자금이 수익증권과 정기예적금에 유입된 영향으로 분석됐다.
1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11월 광의 통화량(M2)은 3894조9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10월보다 0.9% 증가했다.
광의 통화량은 현금 통화를 포함해 예적금 등 금융기관의 단기 금융상품을 포함한다. 지난해 6월 반등한 이후 6개월째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금융상품별로 살펴보면 수익증권은 8조8천억 원, 머니마켓펀드(MMF)는 7조 원, 정기예적금은 6조1천억 원 각각 증가했다. 반면 금전신탁은 2조7천억 원 감소했다.
경제주체별로 보면 기타 금융기관이 16조9천억 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11조6천억 원, 기업이 4조5천억 원 각각 증가했다. 반면 기타 부문은 7천억 원 감소했다. 조승리 기자
기업과 가계 자금이 수익증권과 정기예적금에 유입된 영향으로 분석됐다.

▲ 지난해 11월 통화량이 6개월 연속으로 증가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11월 광의 통화량(M2)은 3894조9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10월보다 0.9% 증가했다.
광의 통화량은 현금 통화를 포함해 예적금 등 금융기관의 단기 금융상품을 포함한다. 지난해 6월 반등한 이후 6개월째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금융상품별로 살펴보면 수익증권은 8조8천억 원, 머니마켓펀드(MMF)는 7조 원, 정기예적금은 6조1천억 원 각각 증가했다. 반면 금전신탁은 2조7천억 원 감소했다.
경제주체별로 보면 기타 금융기관이 16조9천억 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11조6천억 원, 기업이 4조5천억 원 각각 증가했다. 반면 기타 부문은 7천억 원 감소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