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동국제약이 전립성비대증 복합제 개량신약 임상3상에 성공해 제품 개발에 속도를 낸다.
동국제약은 최근 전립선비대증 복합제 개량신약 'DKF-313'(코드명)의 임상3상에서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하면서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2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연내 DKF-313에 대한 임상3상 결과보고서를 마치고 품목허가와 발매를 차례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제품 개발이 완료되면 6년 동안 국내 독점권도 확보해 국내 시장에서 지배력을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동국제약에 따르면 DKF-313은 세계 최초의 '두타스테리드'와 '타다라필' 복합제다. 전립선 크기를 줄여 주는 동시에 전립선비대증에 따른 배뇨장애 증상을 개선해 주는 이중 효과를 통해 단일제보다 우수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번 임상시험에서는 이런 효과와 치료제를 장기복용 해야 하는 질환의 특성상 1일 1회 1정 복용으로 환자의 편의성도 확인했다.
이번 임상시험을 총괄한 김청수 임상시험조정자(CI) 겸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전립선암센터장 비뇨의학과 교수는 "복합제가 각 단일제 대비 국제전립선증상점수(IPSS) 개선 효과가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고 약물이상반응에서 복합제와 단일제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며 "향후 제품 출시로 이어지면 전립선비대증 환자들의 치료 및 삶의 질 개선에 새롭고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동국제약은 2020년 7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DKF-313의 3상 임상시험 수행을 위한 IND 승인을 받았다.
2021년에는 전국 18개 병원에서 650여 명의 환자 등록을 목표로 본격적 임상시험을 개시했다.
DKF-313 개발에는 동국제약이 주관사로서 동아에스티, 신풍제약, 동구바이오제약 3개 국내 제약사가 참여사로서 비용을 분담했다.
앞으로 제품화에 성공하면 각 사가 품목허가를 취득한 뒤 동시 발매할 예정이다. 이 복합제의 개량신약은 주관사인 동국제약의 전용시설에서 제조해 공급하게 된다.
동국제약 관계자는 "국내외 네트워크와 영업력을 바탕으로 국내시장에서 지배력을 강화하고 해외로 영역을 확장해 글로벌 시장을 개척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
동국제약은 최근 전립선비대증 복합제 개량신약 'DKF-313'(코드명)의 임상3상에서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하면서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25일 밝혔다.

▲ 동국제약(사진)이 25일 전립선비대증 복합제 개량신약의 임상3상에서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연내 DKF-313에 대한 임상3상 결과보고서를 마치고 품목허가와 발매를 차례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제품 개발이 완료되면 6년 동안 국내 독점권도 확보해 국내 시장에서 지배력을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동국제약에 따르면 DKF-313은 세계 최초의 '두타스테리드'와 '타다라필' 복합제다. 전립선 크기를 줄여 주는 동시에 전립선비대증에 따른 배뇨장애 증상을 개선해 주는 이중 효과를 통해 단일제보다 우수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번 임상시험에서는 이런 효과와 치료제를 장기복용 해야 하는 질환의 특성상 1일 1회 1정 복용으로 환자의 편의성도 확인했다.
이번 임상시험을 총괄한 김청수 임상시험조정자(CI) 겸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전립선암센터장 비뇨의학과 교수는 "복합제가 각 단일제 대비 국제전립선증상점수(IPSS) 개선 효과가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고 약물이상반응에서 복합제와 단일제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며 "향후 제품 출시로 이어지면 전립선비대증 환자들의 치료 및 삶의 질 개선에 새롭고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동국제약은 2020년 7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DKF-313의 3상 임상시험 수행을 위한 IND 승인을 받았다.
2021년에는 전국 18개 병원에서 650여 명의 환자 등록을 목표로 본격적 임상시험을 개시했다.
DKF-313 개발에는 동국제약이 주관사로서 동아에스티, 신풍제약, 동구바이오제약 3개 국내 제약사가 참여사로서 비용을 분담했다.
앞으로 제품화에 성공하면 각 사가 품목허가를 취득한 뒤 동시 발매할 예정이다. 이 복합제의 개량신약은 주관사인 동국제약의 전용시설에서 제조해 공급하게 된다.
동국제약 관계자는 "국내외 네트워크와 영업력을 바탕으로 국내시장에서 지배력을 강화하고 해외로 영역을 확장해 글로벌 시장을 개척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