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빙그레가 3분기에도 상반기 좋은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길었던 늦더위가 빙과류 판매 호조로 이어지고 원유 가격 상승에 따른 우려는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됐다.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25일 보고서에서 빙그레 목표주가는 8만3천 원,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22일 빙그레 주가는 5만3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빙그레가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4175억 원, 영업이익 434억 원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바라봤다.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6.9%, 영업이익은 68.5% 각각 증가하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안정적인 투입 원가 흐름과 광고선전비 절감 기조가 이어짐에 따라 상반기 보여줬던 큰 폭의 영업이익 개선세가 3분기에도 지속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부문별로 냉장류 매출은 1577억 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바나나맛우유와 요플레 등 주력 제품 가격 인상 효과로 빙그레의 외형 성장세가 이어지며 7~8월 마케팅을 축소함에 따라 수익성도 개선될 것으로 바라봤다.
냉동류 매출은 1914억 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9월 중순 넘어서까지 무더위가 지속됐음을 고려할 때 3분기 빙과류 매출 성장에 대한 기대감도 유효하다고 판단했다.
붕어싸만코, 메로나 등 빙그레 대표 냉동 제품의 가격 인상 효과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상온커피와 더단백 제품 판매도 양호한 것으로 파악했다. 특히 체중 조절 및 영양 균형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더단백 브랜드 매출이 지난해 100억 원을 넘어 올해는 무리없이 200억 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빙그레가 원유 가격 상승에 따른 타격은 덜 받을 것으로 바라봤다.
김 연구원은 “빙그레 별도 매출에서 흰우유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년 감소하는 가운데 지난해에는 4%까지 축소돼 타 업체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원유가 상승 부담이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배윤주 기자
올해 길었던 늦더위가 빙과류 판매 호조로 이어지고 원유 가격 상승에 따른 우려는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됐다.
▲ 빙그레가 3분기에도 상반기 좋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25일 보고서에서 빙그레 목표주가는 8만3천 원,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22일 빙그레 주가는 5만3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빙그레가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4175억 원, 영업이익 434억 원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바라봤다.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6.9%, 영업이익은 68.5% 각각 증가하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안정적인 투입 원가 흐름과 광고선전비 절감 기조가 이어짐에 따라 상반기 보여줬던 큰 폭의 영업이익 개선세가 3분기에도 지속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부문별로 냉장류 매출은 1577억 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바나나맛우유와 요플레 등 주력 제품 가격 인상 효과로 빙그레의 외형 성장세가 이어지며 7~8월 마케팅을 축소함에 따라 수익성도 개선될 것으로 바라봤다.
냉동류 매출은 1914억 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9월 중순 넘어서까지 무더위가 지속됐음을 고려할 때 3분기 빙과류 매출 성장에 대한 기대감도 유효하다고 판단했다.
붕어싸만코, 메로나 등 빙그레 대표 냉동 제품의 가격 인상 효과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상온커피와 더단백 제품 판매도 양호한 것으로 파악했다. 특히 체중 조절 및 영양 균형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더단백 브랜드 매출이 지난해 100억 원을 넘어 올해는 무리없이 200억 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빙그레가 원유 가격 상승에 따른 타격은 덜 받을 것으로 바라봤다.
김 연구원은 “빙그레 별도 매출에서 흰우유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년 감소하는 가운데 지난해에는 4%까지 축소돼 타 업체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원유가 상승 부담이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배윤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