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성물산이 조성한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가 국내 첫 투자처로 에임드바이오를 선정했다.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는 4번째 투자처로 국내 기업 에임드바이오(AimedBio)를 선정하고 지분 투자를 진행한다고 13일 밝혔다.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는 2021년 삼성물산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출자한 1500억 원(SVIC 54호)과 올해 1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출자한 200억 원(SVIC 63호) 등 모두 1700억 원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글로벌 바이오 핵심 기술 육성'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2022년 3월 미국 유전자 치료제 개발 기업 '재규어진테라피', 같은 해 5월 미국 나노 입자 약물전달체 개발사 '센다 바이오사이언스', 올해 4월 스위스 ADC(항체약물 접합체) 기술 기업 '아라리스 바이오테크' 등 3곳에 투자를 진행했다.
에임드바이오는 2018년에 설립돼 항체약물복합체(ADC)와 관련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 현재까지 3개의 신약 후보 물질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AMB302는 교모세포종이라는 악성뇌종양과 방광암에 대한 FGFR3 타깃의 ADC 혁신신약 (First-in-Class6)으로 내년 첫 임상에 들어간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지분 투자와 함께 에임드바이오와 ADC 툴박스 개발 공동 연구를 실시하고 단일 항체 기반 아토피·치매 치료제(AMB001)에 대한 위탁개발(CDO) 과제를 수행하는 등 여러 부문에서 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삼성은 “이번 투자를 시작으로 선진 기술을 보유한 국내 바이오 기업을 지속 발굴하고 투자ㆍ공동 연구ㆍCDO 계약 등 다각적 협력 관계를 구축해 K-바이오 생태계 활성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는 4번째 투자처로 국내 기업 에임드바이오(AimedBio)를 선정하고 지분 투자를 진행한다고 13일 밝혔다.

▲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가 4번째 투자처로 국내 기업 에임드바이오(AimedBio)를 선정하고 지분 투자를 진행한다고 13일 밝혔다. 사진은 에임드바이오 연구원. <삼성바이오로직스>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는 2021년 삼성물산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출자한 1500억 원(SVIC 54호)과 올해 1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출자한 200억 원(SVIC 63호) 등 모두 1700억 원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글로벌 바이오 핵심 기술 육성'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2022년 3월 미국 유전자 치료제 개발 기업 '재규어진테라피', 같은 해 5월 미국 나노 입자 약물전달체 개발사 '센다 바이오사이언스', 올해 4월 스위스 ADC(항체약물 접합체) 기술 기업 '아라리스 바이오테크' 등 3곳에 투자를 진행했다.
에임드바이오는 2018년에 설립돼 항체약물복합체(ADC)와 관련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 현재까지 3개의 신약 후보 물질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AMB302는 교모세포종이라는 악성뇌종양과 방광암에 대한 FGFR3 타깃의 ADC 혁신신약 (First-in-Class6)으로 내년 첫 임상에 들어간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지분 투자와 함께 에임드바이오와 ADC 툴박스 개발 공동 연구를 실시하고 단일 항체 기반 아토피·치매 치료제(AMB001)에 대한 위탁개발(CDO) 과제를 수행하는 등 여러 부문에서 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삼성은 “이번 투자를 시작으로 선진 기술을 보유한 국내 바이오 기업을 지속 발굴하고 투자ㆍ공동 연구ㆍCDO 계약 등 다각적 협력 관계를 구축해 K-바이오 생태계 활성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