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 냉동김밥이 미국에서 ‘대박’이 났다.
음식콘텐츠 크리에이터인 세라안씨가 사회관계망서비스 ‘틱톡’에 올린 영상이 인기를 얻으면서 냉동김밥이 품절됐다.
8일 세라안씨가 한인마트에서 냉동김밥을 사와 엄마와 함께 먹는 영상은 20여 일 만에 누적 조회 수 1100만 회를 넘겼다.
미국 NBC는 “트레이더 조스 김밥이 틱톡 영상을 통한 입소문을 타고 전국적으로 품절됐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최근 미국에서 한식이 큰 인기를 끄는 현상을 소개하기도 했다.
세라안씨가 먹은 냉동김밥은 ‘트레이더 조스’에서 8월 초 출시됐다. 트레이더 조스는 미국 전역에 500여 개 매장을 둔 식료품점이다.
냉동김밥은 출시된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전국 매장에서 품절됐다. 재입고는 11월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해졌다.
세라안씨는 NBC와 인터뷰에서 “5살 때 엄마가 도시락으로 김밥을 싸주셨는데 다른 아이들에게 놀림을 받았다”며 “지금 미국에서 김밥이 인기를 끄는 것은 우리 문화가 다른 사람들에게 수용되고 소비되는 데 얼마나 많은 진전이 있었는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서 “지금은 사람들이 한국 음악, 한국 음식, 한국 문화, 한국 엄마 등 모든 것에 집착한다”고 덧붙였다.
NBC는 트레이더 조스에서 김밥을 구할 수 없게 되자 사람들이 한인마트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전했다.
트레이더 조스의 한 관리자는 “K-팝과 넷플릭스 K-드라마 열풍이 불면서 문화적 노출이 엄청나게 커졌다”며 “즐겨보던 한국 드라마에서도 떡볶이를 먹는 장면이 나왔는데 맛있어 보여서 먹어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윤인선 기자
음식콘텐츠 크리에이터인 세라안씨가 사회관계망서비스 ‘틱톡’에 올린 영상이 인기를 얻으면서 냉동김밥이 품절됐다.

▲ 음식콘텐츠 크리에이터인 세라안씨가 사회관계망서비스 ‘틱톡’에 올린 영상이 인기를 얻으면서 미국 ‘트레이더 조스’ 냉동김밥이 품절됐다. <세라안씨 인스타그램>
8일 세라안씨가 한인마트에서 냉동김밥을 사와 엄마와 함께 먹는 영상은 20여 일 만에 누적 조회 수 1100만 회를 넘겼다.
미국 NBC는 “트레이더 조스 김밥이 틱톡 영상을 통한 입소문을 타고 전국적으로 품절됐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최근 미국에서 한식이 큰 인기를 끄는 현상을 소개하기도 했다.
세라안씨가 먹은 냉동김밥은 ‘트레이더 조스’에서 8월 초 출시됐다. 트레이더 조스는 미국 전역에 500여 개 매장을 둔 식료품점이다.
냉동김밥은 출시된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전국 매장에서 품절됐다. 재입고는 11월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해졌다.
세라안씨는 NBC와 인터뷰에서 “5살 때 엄마가 도시락으로 김밥을 싸주셨는데 다른 아이들에게 놀림을 받았다”며 “지금 미국에서 김밥이 인기를 끄는 것은 우리 문화가 다른 사람들에게 수용되고 소비되는 데 얼마나 많은 진전이 있었는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서 “지금은 사람들이 한국 음악, 한국 음식, 한국 문화, 한국 엄마 등 모든 것에 집착한다”고 덧붙였다.
NBC는 트레이더 조스에서 김밥을 구할 수 없게 되자 사람들이 한인마트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전했다.
트레이더 조스의 한 관리자는 “K-팝과 넷플릭스 K-드라마 열풍이 불면서 문화적 노출이 엄청나게 커졌다”며 “즐겨보던 한국 드라마에서도 떡볶이를 먹는 장면이 나왔는데 맛있어 보여서 먹어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윤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