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은행이 10월 이후 물가 상승률을 3%대로 예상했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5일 한국은행 본관에서 물가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월에도 8월과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수준을 나타낼 것이다”고 내다봤다.
이어 “10월 이후 4분기 중에는 개인서비스 물가 오름세 둔화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농산물 가격도 계절적으로 안정되면서 3% 내외에서 등락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한국은행은 8월 소비자물가지수를 두고 물가 상승률이 예상 경로대로 움직이고 있으며 오름세가 둔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2020년 기준=100)으로 지난해 8월과 비교해 3.4% 상승했다. 올해 4월 3.7%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3.9%,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3.3% 상승했다.
김 부총재보는 8월 소비자물가지수와 관련해 “지난해 8월 대비 3.4% 상승하면서 반등했는데 상당 부분 기저효과에 기인한다”며 “전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지만 최근 석유류, 농산물 가격이 빠르게 오르면서 상승 폭이 다소 커진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김 부총재보는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와 관련해 “8월 상승률이 7월과 같은 수준인데 기조적으로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조승리 기자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5일 한국은행 본관에서 물가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월에도 8월과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수준을 나타낼 것이다”고 내다봤다.

▲ 물가 상승률이 10월 이후 3%대 내외에서 등락할 것이라고 한국은행이 전망했다. <하나은행>
이어 “10월 이후 4분기 중에는 개인서비스 물가 오름세 둔화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농산물 가격도 계절적으로 안정되면서 3% 내외에서 등락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한국은행은 8월 소비자물가지수를 두고 물가 상승률이 예상 경로대로 움직이고 있으며 오름세가 둔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2.33(2020년 기준=100)으로 지난해 8월과 비교해 3.4% 상승했다. 올해 4월 3.7%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3.9%,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3.3% 상승했다.
김 부총재보는 8월 소비자물가지수와 관련해 “지난해 8월 대비 3.4% 상승하면서 반등했는데 상당 부분 기저효과에 기인한다”며 “전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지만 최근 석유류, 농산물 가격이 빠르게 오르면서 상승 폭이 다소 커진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김 부총재보는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와 관련해 “8월 상승률이 7월과 같은 수준인데 기조적으로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