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부가 내년도 국세수입 예산 규모를 올해 본예산에 비해 33조 원 가량 줄어든 367조4천억 원으로 편성했다.
2023년 주요 대기업 실적 부진 여파가 법인세 세수에 치명타를 입힐 것으로 추산됐다.
기획재정부가 29일 발표한 ‘2024년 국세수입 예산안’에 따르면 정부는 2024년 국세수입 예산을 2023년 예산(400조5천억 원) 대비 33조1천억 원 감소한 367조4천억 원으로 편성했다.
회계별로 살펴보면 일반회계가 올해 대비 34조1천억 원 감소한 356조2천억 원, 특별회계가 올해 대비 1조 원 증가한 11조2천억 원이었다.
2023년 대기업 실적 둔화 등으로 인해 법인세가 대폭 줄어드는 것이 예산 규모 감소에 영향을 끼쳤다. 2024년 법인세 세수 규모는 2023년 104조9969억 원과 비교해 27조3천억 원 감소한 77조6649억 원이었다.
다른 세목별 세부내역을 살펴보면 양도소득세는 7조3천억 원 줄어든 22조4165억 원, 종합소득세는 1조7천억 원 감소한 23조682억 원, 부가가치세는 1조8천억 원 감소한 81조4068억 원이다. 종합부동산세는 4조1098억 원으로 1조6천억 원. 상속증여세는 14조6531억 원으로 2조5천억 원 줄어든다.
반면 근로소득세는 62조842억 원으로 1조5천억 원 증가한다. 교통·에너지·환경세는 4조2천억 원 늘어난 15조3258억 원이다.
2023년 국세수입 전망치는 현재 재추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작업을 완료한 뒤 9월초 세부내역을 발표한다. 김홍준 기자
2023년 주요 대기업 실적 부진 여파가 법인세 세수에 치명타를 입힐 것으로 추산됐다.
▲ 기획재정부가 8월29일 ‘2024년 국세수입 예산안’을 발표했다.
기획재정부가 29일 발표한 ‘2024년 국세수입 예산안’에 따르면 정부는 2024년 국세수입 예산을 2023년 예산(400조5천억 원) 대비 33조1천억 원 감소한 367조4천억 원으로 편성했다.
회계별로 살펴보면 일반회계가 올해 대비 34조1천억 원 감소한 356조2천억 원, 특별회계가 올해 대비 1조 원 증가한 11조2천억 원이었다.
2023년 대기업 실적 둔화 등으로 인해 법인세가 대폭 줄어드는 것이 예산 규모 감소에 영향을 끼쳤다. 2024년 법인세 세수 규모는 2023년 104조9969억 원과 비교해 27조3천억 원 감소한 77조6649억 원이었다.
다른 세목별 세부내역을 살펴보면 양도소득세는 7조3천억 원 줄어든 22조4165억 원, 종합소득세는 1조7천억 원 감소한 23조682억 원, 부가가치세는 1조8천억 원 감소한 81조4068억 원이다. 종합부동산세는 4조1098억 원으로 1조6천억 원. 상속증여세는 14조6531억 원으로 2조5천억 원 줄어든다.
반면 근로소득세는 62조842억 원으로 1조5천억 원 증가한다. 교통·에너지·환경세는 4조2천억 원 늘어난 15조3258억 원이다.
2023년 국세수입 전망치는 현재 재추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작업을 완료한 뒤 9월초 세부내역을 발표한다. 김홍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