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24일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에서 DAN 23 컨퍼런스에서 키노트 발표를 하고 있다. <네이버 DAN23 영상 갈무>
네이버는 24일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에서 DAN 23 컨퍼런스를 열고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하고 이를 중심으로 네이버의 기술방향과 사업전략을 공유했다.
최수연 대표는 이날 키노트발표를 맡아 네이버가 AI시대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어떻게 준비했는지 설명했다.
최 대표는 하이퍼클로바X를 통해 네이버를 둘러싼 성장둔화 우려를 불식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네이버는 경기침체로 캐시카우 사업인 검색광고 성장이 둔화되고 콘텐츠와 클라우드 사업의 수익성이 저조한 상황이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거대 IT기업의 초거대 AI 등장은 네이버에 큰 위협이다.
그래서였을까 최 대표는 "네이버는 할 수 있을까? 비슷한 질문을 여러번 받았다"는 말로 발표를 시작했다. 하지만 최 대표는 네이버가 과거의 패러다임 변화에 모두 적응했던 만큼 이번에도 해낼 수 있다고 자신했다.
최 대표는 "네이버는 인터넷 태동기부터 3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고비를 맞닥뜨릴 때마다 기술과 사용자에 집착하고 역량을 보여주며 더 큰 성장을 보여줬다고 생각한다"며 "생성형 AI 시대도 마찬가지다 반드시 이겨내야 할 분야"다 라고 말했다.
최 대표에 따르면 그동안 네이버가 제공해온 여러 서비스들이 네이버의 AI 경쟁력을 뒷받침하고 있다.
최 대표는 "그동안 네이버는 다양한 AI 기반의 추천 기술들을 검색을 포함해 쇼핑, 예약, 리뷰, UGC, 지도, 동영상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하며 기술을 고도화하고 사용성을 강화해나가고 있다" 며 "수십년간 경험한 사용자에 대한 이해, 서비스 운영 노하우, 기술 역량 등은 모두 현재 생성형 AI의 백본모델인 하이퍼클로바X의 경쟁력을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밑거름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 최수연 네이버 대표.
생성형 AI 주도권을 쥐기 위해 연구개발 투자를 게을리 하지 않았으며 강력한 물리적 인프라도 갖췄다고 했다.
최 대표는 "생성형AI 유지에 천문학적 돈이 들어가며 강력한 클라우드 인프라도 필요하다"며 “네이버는매출 20% 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하며 양질 데이터를 확보하고 기술력을 제고하고 있으며 단 한 차례 사고가 없던 자체 데이터센터 등 견고한 AI 인프라도 보유했다”고 말했다.
최 대표에 따르면 네이버는 기존 데이터센터인 '각 춘천'의 6배 크기, 60만 유닛 이상의 서버를 수용력을 가진 데이터센터 '각 세종'을 11월 가동한다. 각 세종은 초대규모 AI의 브레인센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끝으로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만든 대화형 인공지능 클로바X, 검색서비스 큐 등을 통해 파트너들의 성장을 돕겠다고 약속했다.
최수연 대표는 "생성형AI와 이를 기반한 다양한 기술 프로덕트들의 중심에는 사용자, 판매자, 창작자의 경쟁력 향상에 있다" 며 "네이버의 경쟁력은 다양한 서비스와 파트너들이 서로 연결되어 성장을 이끌고 이는 다시 플랫폼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위닝루프 구조에 있으며 하이퍼클로바X는 이러한 위닝루프를 더욱 가속화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조충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