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원/달러 환율이 미국과 중국에서 발표되는 물가지표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7일 “원/달러 환율이 최근 큰 폭으로 상승했다는 점에서 숨고르기 혹은 하락이 예상되지만 미국과 중국의 물가지표가 변수다”고 말했다.
미국 노동부는 10일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발표한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의 둔화세가 6월에 이어 7월에도 확인된다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동결 분위기는 더욱 강화될 것이며 주요국 통화 흐름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9일 발표되는 7월 중국 생산자물가지수가 시장 기대치를 밑돈다면 중국의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위안화를 포함해 원화에도 부담을 줄 것으로 전망됐다.
외국인의 주식 매매 추이도 물가 지표와 함께 외환시장에 영향을 줄 변수로 꼽혔다.
박 연구원은 “순매도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외국인의 주식 매매 추이도 수급 측면에서 원/달러 환율의 추가 상승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다”고 분석했다.
8월 둘째 주 원/달러 환율은 1280~1330원을 오갈 것으로 전망됐다. 조승리 기자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7일 “원/달러 환율이 최근 큰 폭으로 상승했다는 점에서 숨고르기 혹은 하락이 예상되지만 미국과 중국의 물가지표가 변수다”고 말했다.

▲ 원/달러 환율이 숨고르기 장세를 보이면서 미국과 중국의 물가지표 발표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연합뉴스>
미국 노동부는 10일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발표한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의 둔화세가 6월에 이어 7월에도 확인된다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동결 분위기는 더욱 강화될 것이며 주요국 통화 흐름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9일 발표되는 7월 중국 생산자물가지수가 시장 기대치를 밑돈다면 중국의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위안화를 포함해 원화에도 부담을 줄 것으로 전망됐다.
외국인의 주식 매매 추이도 물가 지표와 함께 외환시장에 영향을 줄 변수로 꼽혔다.
박 연구원은 “순매도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외국인의 주식 매매 추이도 수급 측면에서 원/달러 환율의 추가 상승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다”고 분석했다.
8월 둘째 주 원/달러 환율은 1280~1330원을 오갈 것으로 전망됐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