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KT스카이라이프가 2분기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망사용료 증가와 오리지널 콘텐츠 투자 확대로 수익성은 후퇴했다.
KT스카이라이프는 2023년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2613억 원, 영업이익 193억 원의 잠정실적을 냈다고 4일 밝혔다.
지난해 2분기보다 매출은 2.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7.2% 감소한 것이다.
영업비용 상승분이 매출 증가폭을 넘으면서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비용은 망사용료가 20.5%(48억 원), 상각비가 31.8%(95억 원)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망사용료는 모바일 및 인터넷 가입자가 증가하면서 함께 높아졌다. 상각비는 skyTV(위성방송) 오리지널 드라마에 투자를 확대한 영향으로 무형자산상각비를 중심으로 늘어났다.
KT스카이라이프와 HCN의 플랫폼 부문 매출은 2386억 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2.2%(50억 원) 증가했다.
모바일과 인터넷 가입자가 늘고 송출대행 사업이 안정되며 매출이 상승했다. 전체가입자는 2022년 2분기보다 2만 명 늘어나 587만 명을 달성했다.
스카이라이프TV의 콘텐츠 부문 매출은 226억 원으로 지난해 2분기 대비 9.7%(20억 원) 증가했다. 미디어지니 합병 영향으로 채널수신료가 상승했고 오리지널 예능 IP(지식재산권) 제작이 증가하며 관련 판매수익이 늘었다.
스카이라이프TV 광고매출은 157억 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2.3%(4억 원) 상승했다.
양춘식 KT스카이라이프 대표는 “2분기에도 모바일과 인터넷 가입자의 순증세가 계속되며 통신서비스 매출이 성장을 견인했다”며 “skyTV 가입자 순증을 확대하는 동시에 오리지널 콘텐츠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며 주주가치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김바램 기자
KT스카이라이프는 2023년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2613억 원, 영업이익 193억 원의 잠정실적을 냈다고 4일 밝혔다.

▲ KT스카이라이프는 2023년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2613억 원, 영업이익 193억 원으로 잠정집계했다고 4일 밝혔다. < KT스카이라이프 >
지난해 2분기보다 매출은 2.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7.2% 감소한 것이다.
영업비용 상승분이 매출 증가폭을 넘으면서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비용은 망사용료가 20.5%(48억 원), 상각비가 31.8%(95억 원)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망사용료는 모바일 및 인터넷 가입자가 증가하면서 함께 높아졌다. 상각비는 skyTV(위성방송) 오리지널 드라마에 투자를 확대한 영향으로 무형자산상각비를 중심으로 늘어났다.
KT스카이라이프와 HCN의 플랫폼 부문 매출은 2386억 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2.2%(50억 원) 증가했다.
모바일과 인터넷 가입자가 늘고 송출대행 사업이 안정되며 매출이 상승했다. 전체가입자는 2022년 2분기보다 2만 명 늘어나 587만 명을 달성했다.
스카이라이프TV의 콘텐츠 부문 매출은 226억 원으로 지난해 2분기 대비 9.7%(20억 원) 증가했다. 미디어지니 합병 영향으로 채널수신료가 상승했고 오리지널 예능 IP(지식재산권) 제작이 증가하며 관련 판매수익이 늘었다.
스카이라이프TV 광고매출은 157억 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2.3%(4억 원) 상승했다.
양춘식 KT스카이라이프 대표는 “2분기에도 모바일과 인터넷 가입자의 순증세가 계속되며 통신서비스 매출이 성장을 견인했다”며 “skyTV 가입자 순증을 확대하는 동시에 오리지널 콘텐츠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며 주주가치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김바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