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7일 국내 주식시장에서 경기방어주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투자분석팀은 이날 낸 ‘하나 구루 아이’ 보고서에서 “전날 미국 뉴욕증시는 고용지표 호조에 따른 긴축 우려가 커지며 하락 마감했다”며 “글로벌 긴축 우려로 투자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방어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하나증권은 오늘의 테마로 경기방어주를 꼽으며 구체적으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주와 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등 은행주를 들었다.
미국 고용정보업체 ADP에 따르면 6월 민간부문 고용은 5월보다 49만7천명 증가하며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22만 명의 두 배를 뛰어넘었다.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도 24만8천 건으로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단단한 고용은 향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재개 등 긴축 강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어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6일(현지시각) 미국 국채수익률(금리) 역시 연준의 긴축 재개 가능성에 크게 올랐다.
전날 미국 2년 만기 국채수익률은 5.12%까지 상승했다. 2007년 이후 1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2년 만기 국채는 연준 정책에 가장 민감하게 움직인다. 이한재 기자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투자분석팀은 이날 낸 ‘하나 구루 아이’ 보고서에서 “전날 미국 뉴욕증시는 고용지표 호조에 따른 긴축 우려가 커지며 하락 마감했다”며 “글로벌 긴축 우려로 투자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방어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 7일 하나증권은 경기방어주인 SK텔레콤 등 통신주와 KB금융 등 은행주를 오늘의 증시 테마로 꼽았다.
하나증권은 오늘의 테마로 경기방어주를 꼽으며 구체적으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주와 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등 은행주를 들었다.
미국 고용정보업체 ADP에 따르면 6월 민간부문 고용은 5월보다 49만7천명 증가하며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22만 명의 두 배를 뛰어넘었다.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도 24만8천 건으로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단단한 고용은 향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재개 등 긴축 강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어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6일(현지시각) 미국 국채수익률(금리) 역시 연준의 긴축 재개 가능성에 크게 올랐다.
전날 미국 2년 만기 국채수익률은 5.12%까지 상승했다. 2007년 이후 1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2년 만기 국채는 연준 정책에 가장 민감하게 움직인다.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