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유럽의회가 최근 인공지능(AI) 규제 초안을 통과시킨 것은 미국 견제 때문이며 시장에도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박소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19일 “유럽이 AI 규제를 서두르는 이유는 미국보다 유럽이 AI기술에 뒤쳐져 있기 때문이다”며 “오래 전 닷컴버블 붕괴 원인도 2000년 마이크로소프트의 반독점 판결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규제 향방은 주식시장 AI종목들에도 중요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유럽의회는 14일(현지시각) 위반하면 매출의 최대 6%까지 벌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는 ‘EU AI Act’ 초안을 통과시켰다.
주요 내용은 △컨텐츠에 ‘AI생산 여부’ 의무표기 △AI훈련 사용 데이터출처 표기 의무화 △종교나 인종, 성별 등에 따라 점수를 매기는 휴먼스코어링 금지 △공공장소 내 원격 생체인식 △행정적 범죄예측 금지 등이다.
이번 규제는 유럽이 AI 시장에서 기술우위를 지닌 미국을 견제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분석됐다.
박 연구원은 “규제가 과도하면 유럽 업체 성장을 저해할 수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미국에 AI시장 점유율을 잠식당할 우려가 더 높다”며 “이번 AI Act는 선제적 입법으로 절대로 미국에 주도권을 내주지 않겠다는 의지의 일환이다”고 바라봤다.
이 같은 해석이 나오는 이유로는 미국은 AI 규제에 소극적인 가운데 유럽 AI Act는 생성형 AI의 원데이터 원작자가 저작권을 주장하고 결과물에 대한 수익분배도 요구할 수 있게 했기 때문이다.
박 연구원은 “챗지피티(ChatGPT) 등 생성형 AI 학습에 사용될 수 있는 유럽의 ‘데이터 주권’을 지키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며 “미국에서는 최근 면책조항에 AI를 예외로 두는 법안이 발의되기도 했지만 AI를 리딩하고 있어 규제안 마력에 소극적이다”고 바라봤다.
다만 이 같은 규제는 이제 싹트기 시작한 AI시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어 투자자들은 세심히 살펴야 할 것으로 전망됐다.
박 연구원은 “미국 정부는 2000년 5월 마이크로소프트에 독점적 지위를 남용했다며 분할을 명령했고 한 달 뒤 5월부터 닷컴버블이 본격적으로 붕괴됐다”며 “정부규제는 없던 시장을 만들기도 하지만 언제든 거꾸로 파괴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유럽이 AI Act에 합의하는 데는 몇 개월이 걸리겠지만 그래도 AI에 대한 당국 정책방향을 면밀히 관찰해야 하며 올해 초부터 타올랐던 주식시장 AI 모멘텀에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환 기자
박소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19일 “유럽이 AI 규제를 서두르는 이유는 미국보다 유럽이 AI기술에 뒤쳐져 있기 때문이다”며 “오래 전 닷컴버블 붕괴 원인도 2000년 마이크로소프트의 반독점 판결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규제 향방은 주식시장 AI종목들에도 중요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유럽의회가 최근 인공지능(AI) 규제 초안을 통과시킨 것은 미국 견제 때문이며 시장에도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유럽의회는 14일(현지시각) 위반하면 매출의 최대 6%까지 벌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는 ‘EU AI Act’ 초안을 통과시켰다.
주요 내용은 △컨텐츠에 ‘AI생산 여부’ 의무표기 △AI훈련 사용 데이터출처 표기 의무화 △종교나 인종, 성별 등에 따라 점수를 매기는 휴먼스코어링 금지 △공공장소 내 원격 생체인식 △행정적 범죄예측 금지 등이다.
이번 규제는 유럽이 AI 시장에서 기술우위를 지닌 미국을 견제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분석됐다.
박 연구원은 “규제가 과도하면 유럽 업체 성장을 저해할 수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미국에 AI시장 점유율을 잠식당할 우려가 더 높다”며 “이번 AI Act는 선제적 입법으로 절대로 미국에 주도권을 내주지 않겠다는 의지의 일환이다”고 바라봤다.
이 같은 해석이 나오는 이유로는 미국은 AI 규제에 소극적인 가운데 유럽 AI Act는 생성형 AI의 원데이터 원작자가 저작권을 주장하고 결과물에 대한 수익분배도 요구할 수 있게 했기 때문이다.
박 연구원은 “챗지피티(ChatGPT) 등 생성형 AI 학습에 사용될 수 있는 유럽의 ‘데이터 주권’을 지키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며 “미국에서는 최근 면책조항에 AI를 예외로 두는 법안이 발의되기도 했지만 AI를 리딩하고 있어 규제안 마력에 소극적이다”고 바라봤다.
다만 이 같은 규제는 이제 싹트기 시작한 AI시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어 투자자들은 세심히 살펴야 할 것으로 전망됐다.
박 연구원은 “미국 정부는 2000년 5월 마이크로소프트에 독점적 지위를 남용했다며 분할을 명령했고 한 달 뒤 5월부터 닷컴버블이 본격적으로 붕괴됐다”며 “정부규제는 없던 시장을 만들기도 하지만 언제든 거꾸로 파괴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유럽이 AI Act에 합의하는 데는 몇 개월이 걸리겠지만 그래도 AI에 대한 당국 정책방향을 면밀히 관찰해야 하며 올해 초부터 타올랐던 주식시장 AI 모멘텀에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