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홍민택 토스뱅크 대표이사가 2023년 흑자전환이라는 목표 달성에 성큼 다가서고 있다.
31일 토스뱅크 실적을 보면 올해 1분기 순손실 280억 원을 거뒀다. 아직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지만 지난해 1분기보다 순손실이 74% 줄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토스뱅크는 금융플랫폼 강화에도 성공하고 있다.
토스뱅크는 2023년 1분기 기준 고객 수 607만 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2.5배 증가했다. 1분기로부터 약 2개월이 지난 5월 말 기준으로는 650만 명을 넘어섰다.
토스뱅크는 늘어난 고객 수를 두고 모임통장, 지금 이자 받기 등 새로운 금융 상품들을 많이 출시해 흥행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토스뱅크가 국내 금융업계 최초로 선보인 지금 이자 받기 서비스는 31일까지 330만 명의 고객들이 누적 1억8천만 회를 이용하는 등 흥행했다.
고객들이 받은 이자 규모는 모두 3200억 원으로 1인 평균 9만7천 원을 받았다.
토스뱅크에 따르면 이용 연령층은 20대(25.4%)와 40대(23.9%)가 가장 많았지만 30대(18.6%), 50대(15.4%)도 많이 이용하는 등 모든 연령층에서 고른 수요를 보였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지금 이자 받기 서비스 흥행에 “국내 금융사 최초 지금 이자 받기 서비스는 고객중심 금융이 고객들의 호응을 받았기 때문이다”며 “하루라도 돈을 맡기면 고객이 그 대가를 누려야 한다는 가치에 따라 앞으로도 고객 금융 주권을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토스뱅크에 많은 고객이 모여 수신과 여신 등이 증가하면 그만큼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다시 만들어 내는 등 선순환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금융플랫폼이 강화된 만큼 토스뱅크의 규모와 수익성에도 파란불이 켜졌다.
토스뱅크는 올해 1분기 수신 잔액 22조 원, 여신 잔액 9조3천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4.5%, 257.69% 늘었다.
토스뱅크는 수익성 지표에서 2023년 1분기 순이자수익 1120억 원, 비이자수익 125억 원을 거뒀다. 2022년 1분기(순이자손실 28억7천만 원)와 비교해 순이자손익은 흑자로 돌아섰고 비이자수익은 420.83% 증가했다.
금융업계에서는 토스뱅크의 이번 실적을 두고 홍 대표가 자신한 올해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홍 대표도 올해 순이자수익 성장세를 지켜보며 흑자전환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토스뱅크가 올해 안으로 연간 기준 첫 흑자를 낸다면 국내 인터넷은행 2위인 케이뱅크를 넘어 카카오뱅크와 비슷한 속도로 성장하는 셈이 된다.
케이뱅크는 설립 약 5년 만인 2021년에, 카카오뱅크는 1년8개월 만인 2019년에 순이익 흑자를 달성했다. 흑자전환 당시 고객 수는 카카오뱅크가 약 1200만 명, 케이뱅크는 약 500만 명이었다.
현재 토스뱅크 고객 수 650만 명은 올해 순이익 흑자전환을 달성할 수 있는 규모인 셈이다.
토스뱅크의 호실적은 포용금융과 안정성까지 고려한 것이라 더 눈길이 간다.
토스뱅크는 2023년 1분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42%를 유지하고 있다. 국내 은행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금융당국이 인터넷은행을 허가하며 당부한 금융사각지대 해소에 가장 앞장섰다고 볼 수 있다.
같은 기간 카카오뱅크는 약 25.7%, 케이뱅크는 약 24%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기록했다.
금융업계 일각에서 높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때문에 안정성을 우려하자 토스뱅크는 올해 1분기 대손충당금 760억 원을 추가 전입하기도 했다. 인터넷은행 가운데 가장 큰 규모로 알려졌다.
이로써 토스뱅크의 총여신 대비 커버리지 비율(전체 여신잔액 대비 대손충당금 잔액 비중)은 2.8%를 기록했다. 국내 4대 시중은행 평균인 0.49%보다 5배 이상 높고 인터넷은행 평균(1%대)보다도 높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안정적 사업구조 확보 및 비이자수익 증대로 본격적 수익성 개선이 실현되고 있다”며 “높은 유동성과 손실흡수능력을 기반으로 위험에도 대비하며 여신 포트폴리오도 강화해 신뢰받는 제1금융권이 되겠다”고 말했다. 조윤호 기자
31일 토스뱅크 실적을 보면 올해 1분기 순손실 280억 원을 거뒀다. 아직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지만 지난해 1분기보다 순손실이 74% 줄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 홍민택 토스뱅크 대표이사.
토스뱅크는 금융플랫폼 강화에도 성공하고 있다.
토스뱅크는 2023년 1분기 기준 고객 수 607만 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2.5배 증가했다. 1분기로부터 약 2개월이 지난 5월 말 기준으로는 650만 명을 넘어섰다.
토스뱅크는 늘어난 고객 수를 두고 모임통장, 지금 이자 받기 등 새로운 금융 상품들을 많이 출시해 흥행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토스뱅크가 국내 금융업계 최초로 선보인 지금 이자 받기 서비스는 31일까지 330만 명의 고객들이 누적 1억8천만 회를 이용하는 등 흥행했다.
고객들이 받은 이자 규모는 모두 3200억 원으로 1인 평균 9만7천 원을 받았다.
토스뱅크에 따르면 이용 연령층은 20대(25.4%)와 40대(23.9%)가 가장 많았지만 30대(18.6%), 50대(15.4%)도 많이 이용하는 등 모든 연령층에서 고른 수요를 보였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지금 이자 받기 서비스 흥행에 “국내 금융사 최초 지금 이자 받기 서비스는 고객중심 금융이 고객들의 호응을 받았기 때문이다”며 “하루라도 돈을 맡기면 고객이 그 대가를 누려야 한다는 가치에 따라 앞으로도 고객 금융 주권을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토스뱅크에 많은 고객이 모여 수신과 여신 등이 증가하면 그만큼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다시 만들어 내는 등 선순환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금융플랫폼이 강화된 만큼 토스뱅크의 규모와 수익성에도 파란불이 켜졌다.
토스뱅크는 올해 1분기 수신 잔액 22조 원, 여신 잔액 9조3천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4.5%, 257.69% 늘었다.
토스뱅크는 수익성 지표에서 2023년 1분기 순이자수익 1120억 원, 비이자수익 125억 원을 거뒀다. 2022년 1분기(순이자손실 28억7천만 원)와 비교해 순이자손익은 흑자로 돌아섰고 비이자수익은 420.83% 증가했다.
금융업계에서는 토스뱅크의 이번 실적을 두고 홍 대표가 자신한 올해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홍 대표도 올해 순이자수익 성장세를 지켜보며 흑자전환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토스뱅크가 올해 안으로 연간 기준 첫 흑자를 낸다면 국내 인터넷은행 2위인 케이뱅크를 넘어 카카오뱅크와 비슷한 속도로 성장하는 셈이 된다.
케이뱅크는 설립 약 5년 만인 2021년에, 카카오뱅크는 1년8개월 만인 2019년에 순이익 흑자를 달성했다. 흑자전환 당시 고객 수는 카카오뱅크가 약 1200만 명, 케이뱅크는 약 500만 명이었다.
현재 토스뱅크 고객 수 650만 명은 올해 순이익 흑자전환을 달성할 수 있는 규모인 셈이다.
토스뱅크의 호실적은 포용금융과 안정성까지 고려한 것이라 더 눈길이 간다.
토스뱅크는 2023년 1분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42%를 유지하고 있다. 국내 은행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금융당국이 인터넷은행을 허가하며 당부한 금융사각지대 해소에 가장 앞장섰다고 볼 수 있다.
같은 기간 카카오뱅크는 약 25.7%, 케이뱅크는 약 24%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기록했다.
금융업계 일각에서 높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때문에 안정성을 우려하자 토스뱅크는 올해 1분기 대손충당금 760억 원을 추가 전입하기도 했다. 인터넷은행 가운데 가장 큰 규모로 알려졌다.
이로써 토스뱅크의 총여신 대비 커버리지 비율(전체 여신잔액 대비 대손충당금 잔액 비중)은 2.8%를 기록했다. 국내 4대 시중은행 평균인 0.49%보다 5배 이상 높고 인터넷은행 평균(1%대)보다도 높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안정적 사업구조 확보 및 비이자수익 증대로 본격적 수익성 개선이 실현되고 있다”며 “높은 유동성과 손실흡수능력을 기반으로 위험에도 대비하며 여신 포트폴리오도 강화해 신뢰받는 제1금융권이 되겠다”고 말했다.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