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제철 주식 투자의견이 매수로 유지됐다.
올해 국내 자동차 생산량 회복으로 차강판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하반기 차강판 가격 인상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종형 키움증권 연구원은 31일 현대제철 목표주가를 4만6천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30일 현대제철 주가는 3만35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 연구원은 “올해 차강판 판매량이 국내 자동차회사들의 생산량 회복에 따라 늘어날 것”이라고 바라봤다.
현대제철은 올해 550만 톤 규모의 차강판을 판매할 것으로 예상됐다. 2022년과 비교하면 17% 늘어나는 것이다.
올해 하반기 국내 철강업체들이 차강판 가격도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수익성이 더욱 좋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뿐 아니라 북미 강관 수출도 늘어나면서 전기로 제품 수익성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원은 “북미 에너지용 강관이 수출 호조를 이어갈 것”이라며 “이에 따라 전기로 수익성도 레벨업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내다봤다.
현대제철은 2023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6조9260억 원, 영업이익 1조495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과 비교해 매출은 1.5%, 영업이익은 7.4% 줄어드는 것이다. 장은파 기자
올해 국내 자동차 생산량 회복으로 차강판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하반기 차강판 가격 인상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 31일 키움증권이 올해 완성차 생산회복에 현대제철(사진) 차강판 판매 호조로 수익성을 회복할 것이라며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이종형 키움증권 연구원은 31일 현대제철 목표주가를 4만6천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30일 현대제철 주가는 3만35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 연구원은 “올해 차강판 판매량이 국내 자동차회사들의 생산량 회복에 따라 늘어날 것”이라고 바라봤다.
현대제철은 올해 550만 톤 규모의 차강판을 판매할 것으로 예상됐다. 2022년과 비교하면 17% 늘어나는 것이다.
올해 하반기 국내 철강업체들이 차강판 가격도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수익성이 더욱 좋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뿐 아니라 북미 강관 수출도 늘어나면서 전기로 제품 수익성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원은 “북미 에너지용 강관이 수출 호조를 이어갈 것”이라며 “이에 따라 전기로 수익성도 레벨업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내다봤다.
현대제철은 2023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6조9260억 원, 영업이익 1조495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과 비교해 매출은 1.5%, 영업이익은 7.4% 줄어드는 것이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