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버티다 버티다 여기까지 왔다. 코로나 전에도 마이너스였다. 남는 게 없었다. 새벽 5시, 6시까지 일했지만 돈을 모을 수 없었다."

인천에서 호프집을 운영하는 최기선(58) 사장은 24일 참여연대 '자영업 부채 문제 해결 촉구 기자회견'에서 "나아질 거라고 스스로 희망 고문한 거다"며 "참 미련했다"고 자신을 책망했다.
 
자영업자 실태 증언 최기선 호프집 사장, "새벽5시까지 일했지만 결국 파산"

▲ 코로나 기간 부채를 간신히 버텨왔던 최기선 사장은 파산을 결정하고 올해 3월 법원으로부터 파산을 선고 받았다. 


최 사장은 대기업에 다니다가 50대에 들어선 2017년 대출을 받아 인천에서 포차를 운영했다. 초반엔 잘 됐다. 차츰 상권 내 경쟁이 심해진 데다 코로나까지 겹쳐 권리금도 안 되는 5천 만 원에 처분해야 했다. 시작할 땐 권리금만 8천 만 원이던 가게였다. 

최 사장은 "보증금 2천 만~3천 만원선, 월세가 300만 원이었다. 코로나가 터지자 이걸 한 8~9개월을 밀렸다"고 했다. 

월세는 문제도 아니었다. 2020년 이후 한달 수입은 100만 원이 채 안 됐는데 지출은 직원 월급 등 가게 운영비에 가족 생활비, 노모 병원비 등으로 한달 1천 만 원이 훌쩍 넘었다.

코로나19 발생 초기에 인수했던 호프집도 큰 부담이 됐다.

최 사장은 "코로나19가 오래 가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월세만 600만 원, 더블이 됐고 이후는 알다시피 9시까지만 영업하라며 시간을 제한하는 상황이 왔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여기에다 고금리까지 그를 덮쳤다. 처음 사업을 시작할 때 5천 만 원도 되지 않던 부채는 눈덩이처럼 불어나 4억 원을 훌쩍 넘겼다. 그가 가족과 자신의 남은 삶을 위해 할 수 있었던 선택은 파산신청밖에 없었다. 

최 사장은 "경매 절차가 진행됐으니까 올 겨울이면 내 집에서 퇴거해야 한다. 호프집 보증금 3500만 원도 법원 처분을 받아야 한다"며 "가장이기에 약해져선 안 된다며 마음을 다잡고 있다"고 했다. 

고물가와 고금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영업자들이 처한 상황도 전했다.

가까운 족발집이나 식당 사장 같은 자영업자들과 매일 얘기를 나눈다는 최 사장은 "모두 얼마씩 지원이라도 해줬던 코로나 때가 오히려 더 낫다고 말한다"며 "다들 매출이 코로나 이전의 50%수준에도 못미치고 있다"고 했다. 

최 사장을 비롯해 이날 참여연대 기자회견장에 자리한 카페 사업자와 중소상인 등 자영업자들은 전기료, 가스값 등 고정비 부담부터 줄여달라고 정부에 호소했다. 

미국에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시행중인 급여 보호 프로그램(PPP)의 도입, 손실 보상 소급 적용 등도 요구했다. 

최 사장은 자영업자들이 대부분 자신이 그랬던 것처럼 대출로 대출을 버티고 있다고 했다. 사업을 접으면 대출을 전부 갚아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것이다.

자영업자 파산 사태가 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정부 지원 대출의 상환 유예기간이 9월부터 끝나기 때문이다. 

자영업자 대출은 양적으로 크게 늘어 2022년 말 기준 1020조 원대로 1천 조 원을 넘어섰다. 질적으로도 나빠져 비은행권 대출 증가율은 20% 수준으로 가파르게 늘고 있다. 이호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