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 주식 매수의견이 유지됐다.
LG의 거대 인공지능 모델인 엑사원을 활용한 사업의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최남곤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2일 LG 목표주가를 14만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11일 LG 주가는 9만1천 원에 장을 마쳤다.
최 연구원은 “LG 순자산가치 대비 할인율은 47%로 타 지주사와 유사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며 “하지만 LG 특유의 안정적 재무구조와 LG AI(인공지능) 엑사원 사업의 잠재력이 주목 받을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엑사원은 LG 아래에서 인공지능 사업을 담당하는 LG경영개발원 내 LG AI연구원이 2021년 12월에 공개한 인공지능 모델이다.
LG경영개발원은 1분기 매출 537억 원, 영업이익 42억 원을 냈다. 지난해 1분기보다 매출은 32.1%, 영업이익은 228% 증가한 것이다.
다만 LG 전체 2023년 1분기 실적은 부진했다.
LG는 2023년 1분기 매출 1조6500억 원, 영업이익 5049억 원을 냈다. 지난해 1분기보다 매출은 7.6%, 영업이익은 39% 감소한 것이다.
최 연구원은 “LG 영업이익은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 7315억 원을 큰 폭으로 밑돌았다”며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 감소는 관계사인 LG전자, LG화학, LG생활건강 관련 지분법 손익이 6883억 원에서 3676억 원으로 감소한 것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김바램 기자
LG의 거대 인공지능 모델인 엑사원을 활용한 사업의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 최남곤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2일 LG의 거대 인공지능 모델인 엑사원을 활용한 사업이 증권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 LG >
최남곤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2일 LG 목표주가를 14만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11일 LG 주가는 9만1천 원에 장을 마쳤다.
최 연구원은 “LG 순자산가치 대비 할인율은 47%로 타 지주사와 유사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며 “하지만 LG 특유의 안정적 재무구조와 LG AI(인공지능) 엑사원 사업의 잠재력이 주목 받을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엑사원은 LG 아래에서 인공지능 사업을 담당하는 LG경영개발원 내 LG AI연구원이 2021년 12월에 공개한 인공지능 모델이다.
LG경영개발원은 1분기 매출 537억 원, 영업이익 42억 원을 냈다. 지난해 1분기보다 매출은 32.1%, 영업이익은 228% 증가한 것이다.
다만 LG 전체 2023년 1분기 실적은 부진했다.
LG는 2023년 1분기 매출 1조6500억 원, 영업이익 5049억 원을 냈다. 지난해 1분기보다 매출은 7.6%, 영업이익은 39% 감소한 것이다.
최 연구원은 “LG 영업이익은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 7315억 원을 큰 폭으로 밑돌았다”며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 감소는 관계사인 LG전자, LG화학, LG생활건강 관련 지분법 손익이 6883억 원에서 3676억 원으로 감소한 것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김바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