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카카오페이가 올해 1분기 순손익에서 적자를 냈다.
카카오페이는 2023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415억 원, 영업손실 130억 원, 순손실 24억 원을 거뒀다고 2일 밝혔다.
2022년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4.7%, 영업손실은 1106.4% 증가했고 순손익은 적자로 돌아섰다.
카카오페이는 올해 1분기 매출기여거래액(Revenue TPV)이 9조1천억 원을 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분기보다 19% 증가했다.
카카오페이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거래액 성장은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결제에서 18%, 금융 21%, 송금 등 기타 서비스 19% 늘었다.
카카오페이는 “2023년 1분기 말 기준 등록 사용자는 4천만 명을 넘어서며 2022년 1분기보다 6% 증가했다”며 “월간활성이용자(MAU) 수도 2361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늘었다”고 말했다.
카카오페이는 올해 1분기 말 국내외 가맹점 수도 196만 곳이 됐다고 설명했다.
카카오페이 영업이 활발해지며 비용도 늘었다.
카카오페이는 올해 1분기 영업비용 1545억 원이 발생했다. 지난해 1분기보다 24.2% 증가했다.
카카오페이는 비용 증가를 두고 “카드사에 지불하는 지급수수료가 늘었고 금융 자회사들의 인프라 구축 비용 등이 집행됐다”고 말했다. 조윤호 기자
카카오페이는 2023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415억 원, 영업손실 130억 원, 순손실 24억 원을 거뒀다고 2일 밝혔다.

▲ 카카오페이는 2023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415억 원, 영업손실 130억 원, 순손실 24억 원을 거뒀다고 2일 밝혔다.
2022년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4.7%, 영업손실은 1106.4% 증가했고 순손익은 적자로 돌아섰다.
카카오페이는 올해 1분기 매출기여거래액(Revenue TPV)이 9조1천억 원을 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분기보다 19% 증가했다.
카카오페이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거래액 성장은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결제에서 18%, 금융 21%, 송금 등 기타 서비스 19% 늘었다.
카카오페이는 “2023년 1분기 말 기준 등록 사용자는 4천만 명을 넘어서며 2022년 1분기보다 6% 증가했다”며 “월간활성이용자(MAU) 수도 2361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늘었다”고 말했다.
카카오페이는 올해 1분기 말 국내외 가맹점 수도 196만 곳이 됐다고 설명했다.
카카오페이 영업이 활발해지며 비용도 늘었다.
카카오페이는 올해 1분기 영업비용 1545억 원이 발생했다. 지난해 1분기보다 24.2% 증가했다.
카카오페이는 비용 증가를 두고 “카드사에 지불하는 지급수수료가 늘었고 금융 자회사들의 인프라 구축 비용 등이 집행됐다”고 말했다.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