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원/달러 환율이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결과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0일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결과가 달러 추가 약세 폭을 결정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미국 노동부는 12일(현지시각) 3월 소비자물가지수를 발표한다.
3월 소비자물가지수 결과는 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할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추가 금리인상 여부를 결정할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박 연구원은 “만약 3월 소비자물가지수가 긍정적, 즉 시장 예상치에 근접하거나 밑돌 경우 달러화의 추가 약세 폭은 확대될 것이다”고 바라봤다.
4월1일부터 10일까지의 국내 수출 동향도 원/달러 환율의 중요한 변수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 수출 증가율과 무역수지 적자 폭에 따라 국내 경제 펀더멘탈에 대한 우려가 한층 커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박 연구원은 “최근 달러화 약세에도 불구하고 원화가 약세를 보이고 있는데 그 배경은 무엇보다 취약한 국내 경제 펀더멘탈 때문이다”며 “11년 만에 2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한 경상수지가 대표적 지표다”고 말했다.
4월 둘째 주 원/달러 환율은 4월 첫째 주와 비교해 변동성이 확대된 1280~1340원을 오갈 것으로 전망됐다. 조승리 기자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0일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결과가 달러 추가 약세 폭을 결정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 원/달러 환율이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결과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노동부는 12일(현지시각) 3월 소비자물가지수를 발표한다.
3월 소비자물가지수 결과는 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할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추가 금리인상 여부를 결정할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박 연구원은 “만약 3월 소비자물가지수가 긍정적, 즉 시장 예상치에 근접하거나 밑돌 경우 달러화의 추가 약세 폭은 확대될 것이다”고 바라봤다.
4월1일부터 10일까지의 국내 수출 동향도 원/달러 환율의 중요한 변수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 수출 증가율과 무역수지 적자 폭에 따라 국내 경제 펀더멘탈에 대한 우려가 한층 커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박 연구원은 “최근 달러화 약세에도 불구하고 원화가 약세를 보이고 있는데 그 배경은 무엇보다 취약한 국내 경제 펀더멘탈 때문이다”며 “11년 만에 2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한 경상수지가 대표적 지표다”고 말했다.
4월 둘째 주 원/달러 환율은 4월 첫째 주와 비교해 변동성이 확대된 1280~1340원을 오갈 것으로 전망됐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