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우리금융지주 주식 매수의견이 유지됐다.
1분기 단단한 실적을 낸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주요 은행주 가운데 가장 저평가된 점이 투자 요인으로 꼽혔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5일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하며 우리금융을 국내 은행주 가운데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다만 목표주가는 기존 1만8천 원에서 1만5천 원으로 17% 낮춰 잡았다.
4일 우리금융 주가는 1만1350원에 장을 마감했다.
박 연구원은 “글로벌 은행 파산 우려와 이에 따른 국내 은행 손실흡수 능력 강화 움직임 등 업황 약화 상황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하항 조정했지만 우리금융을 업종 내 최선호주로 추천한다”고 말했다.
높은 배당수익 기대감이 우리금융의 투자 매력으로 평가됐다.
우리금융은 현재 주가 수준에서 투자한다면 올해 높은 배당수익률을 안겨줄 것으로 예상됐다.
박 연구원은 “우리금융은 순이자마진(NIM) 하락에도 여전히 단단한 이자이익이 기대된다”며 “현재 우리금융의 주가 수준은 납득할 수 없을 정도로 낮고 이에 따라 배당수익률이 9.4%까지 상승한 상태”라고 분석했다.
우리금융은 1분기 연결기준으로 순이익(지배주주 기준) 8781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1분기보다 4.6% 늘어나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우리은행은 1분기 순이자마진이 1.64%로 전 분기 대비로는 하락하지만 1년 전보다는 0.15%포인트나 상승하며 단단한 이자이익을 냈을 것”이라고 파악했다. 이한재 기자
1분기 단단한 실적을 낸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주요 은행주 가운데 가장 저평가된 점이 투자 요인으로 꼽혔다.

▲ 5일 대신증권은 우리금융을 국내 은행주 가운데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5일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하며 우리금융을 국내 은행주 가운데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다만 목표주가는 기존 1만8천 원에서 1만5천 원으로 17% 낮춰 잡았다.
4일 우리금융 주가는 1만1350원에 장을 마감했다.
박 연구원은 “글로벌 은행 파산 우려와 이에 따른 국내 은행 손실흡수 능력 강화 움직임 등 업황 약화 상황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하항 조정했지만 우리금융을 업종 내 최선호주로 추천한다”고 말했다.
높은 배당수익 기대감이 우리금융의 투자 매력으로 평가됐다.
우리금융은 현재 주가 수준에서 투자한다면 올해 높은 배당수익률을 안겨줄 것으로 예상됐다.
박 연구원은 “우리금융은 순이자마진(NIM) 하락에도 여전히 단단한 이자이익이 기대된다”며 “현재 우리금융의 주가 수준은 납득할 수 없을 정도로 낮고 이에 따라 배당수익률이 9.4%까지 상승한 상태”라고 분석했다.
우리금융은 1분기 연결기준으로 순이익(지배주주 기준) 8781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1분기보다 4.6% 늘어나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우리은행은 1분기 순이자마진이 1.64%로 전 분기 대비로는 하락하지만 1년 전보다는 0.15%포인트나 상승하며 단단한 이자이익을 냈을 것”이라고 파악했다.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