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BGF리테일이 1분기에 시장 기대치를 밑도는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됐다.
남성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4일 BGF리테일의 목표주가를 기존 22만 원으로,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3일 BGF리테일 주가는 18만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BGF리테일은 1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8247억 원, 영업이익 348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2022년 1분기보다 매출은 7.8% 늘어나고 영업이익은 7.8% 줄어드는 것이다.
남 연구원은 “영업이익의 부진 이유는 1월 매서운 한파에 따른 집객력 하락과 지난해 진단키트 판매 기저에 따른 영향이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며 지난해 진단키트 일시적 수요 증가에 따른 이익 증가를 약 40억~50억 원 수준으로 분석했다.
1분기 실적이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올해 편의점 업황은 여전히 긍정적으로 전망됐다.
신규점 수요가 여전히 견조하게 유지되면서 목표치인 연간 800개 증가에 문제가 없고 기능성 식품과 즉석식품 매출액 성장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 연구원은 “BGF리테일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구조적 마진 개선 구간에 진입했다”며 “1분기를 제외한 올해 실적은 안정적으로 성장할 전망이다”고 말했다. 윤인선 기자
남성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4일 BGF리테일의 목표주가를 기존 22만 원으로,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 BGF리테일이 1분기에 시장 기대치를 밑도는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됐다.
3일 BGF리테일 주가는 18만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BGF리테일은 1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8247억 원, 영업이익 348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2022년 1분기보다 매출은 7.8% 늘어나고 영업이익은 7.8% 줄어드는 것이다.
남 연구원은 “영업이익의 부진 이유는 1월 매서운 한파에 따른 집객력 하락과 지난해 진단키트 판매 기저에 따른 영향이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며 지난해 진단키트 일시적 수요 증가에 따른 이익 증가를 약 40억~50억 원 수준으로 분석했다.
1분기 실적이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올해 편의점 업황은 여전히 긍정적으로 전망됐다.
신규점 수요가 여전히 견조하게 유지되면서 목표치인 연간 800개 증가에 문제가 없고 기능성 식품과 즉석식품 매출액 성장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 연구원은 “BGF리테일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구조적 마진 개선 구간에 진입했다”며 “1분기를 제외한 올해 실적은 안정적으로 성장할 전망이다”고 말했다. 윤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