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마트가 이커머스 시장의 경쟁 완화와 리뉴얼 매장 효과에 힘입어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위원은 3일 이마트 목표주가를 기존 15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로 각각 유지했다.
 
한국투자 "이마트 수익성 개선 전망, 시장 경쟁 완화와 리뉴얼 매장 효과"

▲ 이마트가 소매시장 내 경쟁 완화와 이마트의 리뉴얼 매장 효과가 부각되며 주가가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마트>


3월31일 이마트 주가는 10만5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2022년 이마트는 4년 만에 별도기준 총 이익(GP) 마진 개선을 보였다. 2021년과 비교해 0.4%가 증가했다.

작년 하반기부터 쿠팡을 포함한 이커머스 기업이 비용 절감에 나서면서 가격 경쟁이 완화됐기 때문이다. 

김 연구위원은 “고금리 상황과 매크로 불확실성을 고려했을 때 이커머스 기업 및 오프라인 유통사의 가격 경쟁 축소가 올해도 이어질 것이다”며 “가격 경쟁 완화가 유통 기업 중 이마트에 가장 긍정적이다”고 내다봤다.

그 이유로 이마트가 온라인 사업부 적자 축소와 함께 할인점의 GP마진 개선을 동시에 이룰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이마트 별도기준 GP마진은 지난해와 비교해 0.15% 개선되고 온라인 사업부의 영업적자는 585억 원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마트는 2023년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7조1925억 원, 영업이익 735억 원을 거둔 것으로 추정됐다. 2022년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2.7%, 영업이익은 113.5% 늘어나는 것이다.

이마트는 올해 상반기 16개 매장을 리뉴얼할 계획을 세웠고 연말에는 할인점 중 37%가 리뉴얼 점포가 될 것으로 전해졌다

김 연구위원은 “기존점 신장이 부진함에도 영업이익 감익이 크지 않은 이유는 지난해에 이어 1분기에도 GP마진이 개선되기 때문이다”며 “소매시장 내 경쟁 완화와 이마트의 리뉴얼 매장 효과가 부각되며 이마트 주가가 다시 회복세를 보일 것이다”고 말했다. 윤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