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통일부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정책자문기구를 구성했다.
통일부는 28일 민관협업으로 통일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통일미래기획위원회’ 인선을 완료하고 구성 및 운영에 관한 규정을 발령한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통일미래기획위원회가 윤석열정부의 한반도 평화를 위한 중장기 구상으로 연내 발표하기로 한 '신 통일미래구상' 등 통일미래 정책개발에 중심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통일부는 1월27일 업무보고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통일미래기획위원회를 추진하겠다고 보고한 바 있다.
통일미래기획위원회는 권영세 통일부 장관 산하 자문기구로 정치·군사, 경제, 사회문화, 인도·인권, 국제협력 등 5개 분과위원회를 두며 위원장을 포함한 34명의 위원이 참여한다.
초대 통일미래기획위원회 위원장에는 김영호 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선임됐다. 김 위원장은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 통일비서관과 외교통상부 인권대사를 지냈다.
각 분과위원장으로는 김천식 ‘통일을 생각하는 사람들의 모임’ 이사장(정치·군사), 김병연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경제), 현인애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 객원연구위원(사회문화), 이정훈 연세대 국제대학원 교수(인도·인권), 김재천 서강대 국제대학원 원장(국제협력) 등이 위촉됐다.
통일미래기획위원회에는 학계 뿐 아니라 김영희 남북하나재단 대외협력부장(경제), 이기범 어린이어깨동무 이사장, 최현아 한스자이델재단 수석연구원 (사회문화분과), 김민정 세이브NK 부대표, 요안나 호사냑 북한인권시민연합 부국장(인도인권 분야) 등 북한관련 민간단체 인사들도 다수 참여한다.
통일미래기획위원회는 오는 3월 중순 통일부 장관이 참석한 첫 회의를 개최하며 분기마다 한 차례 회의를 갖기로 했다. 또 각계 간담회와 공개 세미나도 열어 통일미래에 관한 의견을 수렴한다.
통일부는 “통일미래기획위원회를 중심으로 통일미래의 청사진과 추진전략을 재정립함으로써 통일미래를 체계적으로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대철 기자
통일부는 28일 민관협업으로 통일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통일미래기획위원회’ 인선을 완료하고 구성 및 운영에 관한 규정을 발령한다고 밝혔다.
▲ 통일미래기획위원장으로 김영호 성신여대 교수(사진0가 선임됐다.
통일부는 통일미래기획위원회가 윤석열정부의 한반도 평화를 위한 중장기 구상으로 연내 발표하기로 한 '신 통일미래구상' 등 통일미래 정책개발에 중심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통일부는 1월27일 업무보고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통일미래기획위원회를 추진하겠다고 보고한 바 있다.
통일미래기획위원회는 권영세 통일부 장관 산하 자문기구로 정치·군사, 경제, 사회문화, 인도·인권, 국제협력 등 5개 분과위원회를 두며 위원장을 포함한 34명의 위원이 참여한다.
초대 통일미래기획위원회 위원장에는 김영호 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선임됐다. 김 위원장은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 통일비서관과 외교통상부 인권대사를 지냈다.
각 분과위원장으로는 김천식 ‘통일을 생각하는 사람들의 모임’ 이사장(정치·군사), 김병연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경제), 현인애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 객원연구위원(사회문화), 이정훈 연세대 국제대학원 교수(인도·인권), 김재천 서강대 국제대학원 원장(국제협력) 등이 위촉됐다.
통일미래기획위원회에는 학계 뿐 아니라 김영희 남북하나재단 대외협력부장(경제), 이기범 어린이어깨동무 이사장, 최현아 한스자이델재단 수석연구원 (사회문화분과), 김민정 세이브NK 부대표, 요안나 호사냑 북한인권시민연합 부국장(인도인권 분야) 등 북한관련 민간단체 인사들도 다수 참여한다.
통일미래기획위원회는 오는 3월 중순 통일부 장관이 참석한 첫 회의를 개최하며 분기마다 한 차례 회의를 갖기로 했다. 또 각계 간담회와 공개 세미나도 열어 통일미래에 관한 의견을 수렴한다.
통일부는 “통일미래기획위원회를 중심으로 통일미래의 청사진과 추진전략을 재정립함으로써 통일미래를 체계적으로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