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신세계가 지난해 4분기 백화점부문에서 크게 성장하지 못했으나 올해는 면세점을 앞세워 수익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됐다.

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0일 신세계 목표주가 33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한국투자 "신세계 올해 면세점사업 실적 개선 전망, 백화점 부진 상쇄"

▲ 신세계가 지난해 4분기 백화점부문에서 크게 성장하지 못했으나 올해는 면세점을 앞세워 수익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9일 신세계 주가는 23만7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신세계는 2022년 4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689억 원, 영업이익 1974억 원을 거둔 것으로 추정됐다. 2021년 4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7.0%, 영업이익은 1.1% 늘어난 것이다.

해외여행의 본격화 등에 따라 백화점사업이 예상보다 빠르게 매출 성장 둔화를 보인 것이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앞서 2022년 1~3분기에는 의류 매출이 늘어 전년 대비 성장률이 31.5%에 이르렀으나 같은 해 10~11월에는 성장률이 7.9%로 떨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2023년에는 신세계 면세점사업의 가치가 다시 부각되면서 주가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 연구원은 올해 신세계 면세점사업의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101% 증가해 710억 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중국의 실질적인 제로코로나 정책 폐지에 따라서 면세점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며 "올해 면세점사업에 대한 기대감과 업계 내 경쟁 완화로 인한 신세계DF(면세점)의 실적 개선이 백화점의 부진을 충분히 상쇄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윤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