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네이버가 패션 콘텐츠 플랫폼에 대한 투자를 이어갔다.
네이버의 스타트업 투자 전문 조직 D2SF는 올해 4월 처음 투자한 ‘온더룩’에 후속투자했다고 28일 밝혔다.
네이버를 포함한 이번 투자 규모는 70억 원이다. 이로써 온더룩이 2022년 한 해 동안 유치한 투자금액은 모두 100억 원으로 늘어났다.
온더룩은 이용자 취향을 분석해 패션 크리에이터의 콘텐츠를 추천하는 모바일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각자의 취향에 최적화된 최신 패션 트렌드와 관련 상품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네이버에 따르면 온더룩은 각종 지표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보다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690% 증가했고 온더룩 플랫폼에서 패션 콘텐츠를 제작하는 크리에이터도 연 평균 40% 성장하고 있다.
온더룩은 올해 4월 네이버 D2SF로부터 첫 투자를 유치한 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서비스 연동 등의 협력을 통해 상품구매 이용자의 경험을 한층 높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대범 온더룩 대표는 “최근 일본 현지 기관에서 온더룩을 2023 트렌드 예측 앱으로 선정하는 등 해외에서도 많은 이용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며 “이번 투자 유치를 계기로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하기 위해 적극적인 인재 채용과 서비스 고도화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임민규 기자
네이버의 스타트업 투자 전문 조직 D2SF는 올해 4월 처음 투자한 ‘온더룩’에 후속투자했다고 28일 밝혔다.

▲ 네이버D2SF가 패션콘텐츠 스타트업 '온더룩'에 후속투자했다. 온더룩과 네이버D2SF 로고.
네이버를 포함한 이번 투자 규모는 70억 원이다. 이로써 온더룩이 2022년 한 해 동안 유치한 투자금액은 모두 100억 원으로 늘어났다.
온더룩은 이용자 취향을 분석해 패션 크리에이터의 콘텐츠를 추천하는 모바일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각자의 취향에 최적화된 최신 패션 트렌드와 관련 상품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네이버에 따르면 온더룩은 각종 지표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보다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690% 증가했고 온더룩 플랫폼에서 패션 콘텐츠를 제작하는 크리에이터도 연 평균 40% 성장하고 있다.
온더룩은 올해 4월 네이버 D2SF로부터 첫 투자를 유치한 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서비스 연동 등의 협력을 통해 상품구매 이용자의 경험을 한층 높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대범 온더룩 대표는 “최근 일본 현지 기관에서 온더룩을 2023 트렌드 예측 앱으로 선정하는 등 해외에서도 많은 이용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며 “이번 투자 유치를 계기로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하기 위해 적극적인 인재 채용과 서비스 고도화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임민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