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회사가 영국의 유럽연합(EU)에서 탈퇴 결정으로 받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됐다.

하태기 SK증권 연구원은 27일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결정으로 국내 제약사가 받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전망했다.

  종근당바이오 경보제약 에스티팜, 브렉시트가 호재로 작용  
▲ 강태원 경보제약 대표이사.
하 연구원은 “2013년 기준으로 글로벌 의약품시장의  규모가 약 1천조 원 수준인데 이 가운데 영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5%에 불과하고 한국과 연결 지을 경우 규모가 더 작아진다”며 “영국이 유럽연합에서 탈퇴해도 한국 제약회사가 받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 연구원은 다만 영국이 유럽연합에서 최종적으로 탈퇴할 경우 단기적으로 국내 제약회사가 비용증가 부담을 안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유럽연합과 의약품 수출 및 수입 계약을 조정해야 되며 영국과는 새로 수출입 계약을 맺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영국이 유럽연합에서 탈퇴하기로 결정한 것은 반(反)세계화 현상을 반영하는 것”이라며 “반세계화는 자국사업보호를 우선하는 정책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글로벌 진출을 서두르고 있는 국내 제약사에게 호재는 아니다”고 진단했다.

하 연구원은 영국이 유럽연합에서 탈퇴하기로 하면서 글로벌 환율변동폭이 확대될 수 있다며 환율 변화에 따라 국내 제약업계의 희비가 엇갈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원화의 엔화나 달러대비 약세가 진행되면 수출비중이 높고 달러결제의 비중이 높은 제약회사와 일본으로 의약품원료 수출규모가 큰 제약회사가 유리해질 것”이라며 “반면 원료수입 비중이 높은 제약사는 다소 불리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하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원화약세가 진행된다고 했을 때 유리한 기업으로 종근당바이오와 경보제약, LG생명과학, 에스텍파마, 에스티팜 등을 지목했다.

2015년 매출과 대비해 종근당바이오의 수출비중은 78.3%, 경보제약은 43.2%, LG생명과학은 45.3%, 에스텍파마는 55.6%, 에스티팜은 73.2%이다.

종근당바이오는 항생제 원료를 주로 수출하고 있으며 경보제약은 일반 의약품 및 항생제 수출비중이 높다. LG생명과학의 경우 백신과 농약원제 등이 주요 수출품이다.

에스텍파마는 의약품의 원료를 주로 수출하고 있고 에스티팜의 주력 수출품은 간염치료제 성분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서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