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푸르밀이 사업 종료 방침을 뒤집고 영업을 계속하기로 했다.
다만 영업손실이 크다는 점을 감안해 전체 인력의 30%는 희망퇴직 방식으로 감원한다.
푸르밀은 10일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하며 “기존에 발표한 11월30일자 사업 종료 선언을 전격 철회하고 슬림화된 구조 아래 갖춰진 효율성을 바탕으로 회사의 영업을 정상화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 호소문은 신동환 푸르밀 대표이사 사장과 푸르밀 임직원 및 노동조합 일동 이름으로 나왔다.
푸르밀은 호소문에서 “회사는 2018년부터 현재까지 지속된 누적 적자로 경영 위기를 넘어 회사의 존폐를 고민할 만큼의 상황에까지 이르렀다”며 “하지만 사업 종료 선언을 발표한 뒤 직원과 대리점주, 낙농가, 운송회사, 협력회사를 비롯해 국민들께서 사업 종료만은 막고 어려움을 최소화해달라는 요청을 한 마음으로 해주셨다”고 말했다.
이어 “회사는 직원으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비상경영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노동조합의 뼈를 깎는 희생과 도움으로 구조조정 합의에 이르게 됐다”며 “자금지원의 용단을 내려준 주주들의 지원으로 회사를 정상화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됐다”고 덧붙였다.
최근 푸르밀 노조는 비상대책위원회와 만나 전체 임원의 30%를 감원하는 선에서 회사의 사업을 유지하도록 하는 방안에 합의한 바 있다.
푸르밀은 희망퇴직 신청을 우선 받아본 뒤 나머지 감원 방식을 고민하기로 했다.
푸르밀은 호소문에서 “지난 한 달 동안 푸르밀 제품을 사랑하고 애용해주신 소비자께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드려 죄송하다”며 “45년 전 창업 초심으로 돌아가 재도전하려고 하니 회사에 대한 미움을 거두고 지속적 관심과 애정어린 시선으로 바라봐달라”고 말했다. 남희헌 기자
다만 영업손실이 크다는 점을 감안해 전체 인력의 30%는 희망퇴직 방식으로 감원한다.

▲ 푸르밀이 10일 대국민 호소문을 통해 영업을 정상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푸르밀은 10일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하며 “기존에 발표한 11월30일자 사업 종료 선언을 전격 철회하고 슬림화된 구조 아래 갖춰진 효율성을 바탕으로 회사의 영업을 정상화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 호소문은 신동환 푸르밀 대표이사 사장과 푸르밀 임직원 및 노동조합 일동 이름으로 나왔다.
푸르밀은 호소문에서 “회사는 2018년부터 현재까지 지속된 누적 적자로 경영 위기를 넘어 회사의 존폐를 고민할 만큼의 상황에까지 이르렀다”며 “하지만 사업 종료 선언을 발표한 뒤 직원과 대리점주, 낙농가, 운송회사, 협력회사를 비롯해 국민들께서 사업 종료만은 막고 어려움을 최소화해달라는 요청을 한 마음으로 해주셨다”고 말했다.
이어 “회사는 직원으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비상경영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노동조합의 뼈를 깎는 희생과 도움으로 구조조정 합의에 이르게 됐다”며 “자금지원의 용단을 내려준 주주들의 지원으로 회사를 정상화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됐다”고 덧붙였다.
최근 푸르밀 노조는 비상대책위원회와 만나 전체 임원의 30%를 감원하는 선에서 회사의 사업을 유지하도록 하는 방안에 합의한 바 있다.
푸르밀은 희망퇴직 신청을 우선 받아본 뒤 나머지 감원 방식을 고민하기로 했다.
푸르밀은 호소문에서 “지난 한 달 동안 푸르밀 제품을 사랑하고 애용해주신 소비자께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드려 죄송하다”며 “45년 전 창업 초심으로 돌아가 재도전하려고 하니 회사에 대한 미움을 거두고 지속적 관심과 애정어린 시선으로 바라봐달라”고 말했다.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