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카카오 서비스가 마비되는 ‘카카오 먹통’ 사태로 2천 곳 넘는 소상공인 사업장이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소상공인연합회는 10월17~31일 진행한 ‘카카오 마비 소상공인 피해접수’를 통해 소상공인 사업장 2117곳이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고 9일 밝혔다.
피해 사업장은 외식업 26.9%, 서비스업 20.8%, 운수업 20.2%, 도소매업 18.7% 등으로 나뉘었다.
카카오페이 결제, 카카오톡 채널 주문 접수, 카카오T 택시 배차 등이 불가해 피해를 본 경우가 많았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카카오측은 유료·무료 서비스 여부를 떠나 소상공인의 피해에 대해 소상공인이 공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보상안을 마련하고 피해보상협의체 구성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10월15일 경기도 판교 SKC&C 데이터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해 카카오 서비스 대부분이 마비됐다.
이후 카카오는 자체적으로 10월19일부터 11월6일까지 피해 사례를 접수했다. 카카오가 접수한 피해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임한솔 기자
소상공인연합회는 10월17~31일 진행한 ‘카카오 마비 소상공인 피해접수’를 통해 소상공인 사업장 2117곳이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고 9일 밝혔다.
▲ 소상공인연합회는 9일 카카오 먹통 사태로 소상공인 사업장 2117곳이 피해를 봤다고 밝혔다.
피해 사업장은 외식업 26.9%, 서비스업 20.8%, 운수업 20.2%, 도소매업 18.7% 등으로 나뉘었다.
카카오페이 결제, 카카오톡 채널 주문 접수, 카카오T 택시 배차 등이 불가해 피해를 본 경우가 많았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카카오측은 유료·무료 서비스 여부를 떠나 소상공인의 피해에 대해 소상공인이 공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보상안을 마련하고 피해보상협의체 구성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10월15일 경기도 판교 SKC&C 데이터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해 카카오 서비스 대부분이 마비됐다.
이후 카카오는 자체적으로 10월19일부터 11월6일까지 피해 사례를 접수했다. 카카오가 접수한 피해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