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전국금속노동조합 기아자동차지부(기아 노조)가 13일부터 이틀 동안 부분파업에 들어간다.
기아 노조는 12일 소식지를 통해 13일 2시간, 14일 4시간 등 모두 6시간의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생산 특근도 전면 거부하기로 했다.
앞서 기아 노조는 11일 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기아 노조는 “현장의 요구안에 대해 납득할 만한 전향적 안이 나올 때까지 투쟁할 것”이라며 “2022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을 반드시 쟁취하겠다는 의지의 실현으로 총파업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애초 기아 노사는 9월 한 차례 잠정합의안을 마련했지만 찬반투표에서 한 차례 부결된 이후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노조의 파업 이유는 ‘퇴직자 복지 축소’로 여겨진다.
기아는 그동안 25년 이상 일한 후 퇴직한 직원에게 2년에 1번 차량을 구매할 때 평생 30% 할인해 주는 복지를 제공해왔다.
하지만 올해 9월 마련된 잠정합의안에는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위험 우려가 커지면서 할인 혜택 제공을 75세로 제한하고 할인 주기를 3년으로 확대, 할인율을 25% 낮추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장은파 기자
기아 노조는 12일 소식지를 통해 13일 2시간, 14일 4시간 등 모두 6시간의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생산 특근도 전면 거부하기로 했다.

▲ 기아 노조가 12일 소식지를 통해 13일 2시간, 14일 4시간 등 모두 6시간의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홍진성 전국금속노조 기아차지부장. <전국금속노동조합 기아차지부 홈페이지 갈무리>
앞서 기아 노조는 11일 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기아 노조는 “현장의 요구안에 대해 납득할 만한 전향적 안이 나올 때까지 투쟁할 것”이라며 “2022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을 반드시 쟁취하겠다는 의지의 실현으로 총파업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애초 기아 노사는 9월 한 차례 잠정합의안을 마련했지만 찬반투표에서 한 차례 부결된 이후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노조의 파업 이유는 ‘퇴직자 복지 축소’로 여겨진다.
기아는 그동안 25년 이상 일한 후 퇴직한 직원에게 2년에 1번 차량을 구매할 때 평생 30% 할인해 주는 복지를 제공해왔다.
하지만 올해 9월 마련된 잠정합의안에는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위험 우려가 커지면서 할인 혜택 제공을 75세로 제한하고 할인 주기를 3년으로 확대, 할인율을 25% 낮추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