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가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에 나선 배경을 놓고 글로벌 커뮤니티 커머스 시장 선점이 목표라고 밝혔다.
최수연 대표는 4일 오전 진행된 컨퍼런스콜에서 북미 최대 규모의 온라인 패션 중고 플랫폼인 포쉬마크를 인수한 것에 대해 “글로벌 시장에서 네이버만이 구현할 수 있는 ‘커뮤니티 커머스’라는 새로운 리테일 형식을 적립해 보겠다는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개인 간 거래(C2C)와 패션 커머스라는 영역을 정하고 나니 포쉬마크는 어떻게 보면 독보적 인수 대상이었다”며 “가장 경쟁이 치열한 정보기술(IT) 업계에서 우리가 직접적으로 사업적 거점을 확보할 수 있고 우리가 가지고 있는 최신 기술 트렌드나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최적의 분야,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가 C2C 그리고 특히 패션 커머스라고 판단을 했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이날 공시를 통해 포쉬마크를 16억 달러에 인수하겠다고 밝혔다. 지분 100% 인수 가격은 12억 달러이며 포쉬마크가 보유한 현금까지 합하면 모두 16억 달러다.
최 대표는 “포쉬마크는 사용자 중 80%가 북미 MZ세대인 글로벌 C2C 패션 중고거래 1위 사업자이며 미국 온라인 중고시장 역시 굉장히 빠르게 성장을 하고 있다”며 “특히 커머스와 커뮤니티 소셜 기능이 결합한 가장 독보적인 사업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으로 다가왔다”고 설명했다.
최 대표는 콘텐츠와 커뮤니티, 임파워먼트(권한 부여 및 강화) 등 세 가지 측면에서 포쉬마크와 같은 비전 및 가치를 공유한다고 강조했다.
네이버가 보유한 다양한 커뮤니티인 블로그, 지식인, 카페, 밴드 등과 포쉬마크가 구축해온 여러 소셜 기능을 합해 시너지를 내겠다는 것이 최 대표의 구상이다.
최 대표는 "글로벌 최고의 패션 특화 C2C 플랫폼으로 도약하고 더욱 새롭고 재미있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선보이며 팀 네이버의 글로벌 인지도와 위상이 더욱 높아질 수 있는 계기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남선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네이버의 포쉬마크 인수 가격이 비싸지 않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CFO는 “최근에 거래되는 유사 업체들의 사례와 경영권 프리미엄을 살폈을 때 적정 가격의 범위 안에 포쉬마크가 들어온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포쉬마크의 주요 경쟁사인 디팝이 약 16억 달러에 인수됐다며 당시 디팝의 매출이 포쉬마크의 5분의 1도 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포쉬마크를 16억 달러에 인수하게 된 것은 굉장히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CFO는 고금리와 고환율 등 거시경제 환경이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적정 인수 시기라고 보느냐는 질문에 “요즘 같은 환경에서는 포쉬마크 본업의 내생적 변수보다는 외생적 변수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며 “오히려 자본시장 등 외형상의 밸류에이션이 많이 낮아진 상황에서 좋은 회사를 매력적인 가격에 인수할 좋은 기회였다”고 말했다. 남희헌 기자
최수연 대표는 4일 오전 진행된 컨퍼런스콜에서 북미 최대 규모의 온라인 패션 중고 플랫폼인 포쉬마크를 인수한 것에 대해 “글로벌 시장에서 네이버만이 구현할 수 있는 ‘커뮤니티 커머스’라는 새로운 리테일 형식을 적립해 보겠다는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개인 간 거래(C2C)와 패션 커머스라는 영역을 정하고 나니 포쉬마크는 어떻게 보면 독보적 인수 대상이었다”며 “가장 경쟁이 치열한 정보기술(IT) 업계에서 우리가 직접적으로 사업적 거점을 확보할 수 있고 우리가 가지고 있는 최신 기술 트렌드나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최적의 분야,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가 C2C 그리고 특히 패션 커머스라고 판단을 했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이날 공시를 통해 포쉬마크를 16억 달러에 인수하겠다고 밝혔다. 지분 100% 인수 가격은 12억 달러이며 포쉬마크가 보유한 현금까지 합하면 모두 16억 달러다.
최 대표는 “포쉬마크는 사용자 중 80%가 북미 MZ세대인 글로벌 C2C 패션 중고거래 1위 사업자이며 미국 온라인 중고시장 역시 굉장히 빠르게 성장을 하고 있다”며 “특히 커머스와 커뮤니티 소셜 기능이 결합한 가장 독보적인 사업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으로 다가왔다”고 설명했다.
최 대표는 콘텐츠와 커뮤니티, 임파워먼트(권한 부여 및 강화) 등 세 가지 측면에서 포쉬마크와 같은 비전 및 가치를 공유한다고 강조했다.
네이버가 보유한 다양한 커뮤니티인 블로그, 지식인, 카페, 밴드 등과 포쉬마크가 구축해온 여러 소셜 기능을 합해 시너지를 내겠다는 것이 최 대표의 구상이다.
최 대표는 "글로벌 최고의 패션 특화 C2C 플랫폼으로 도약하고 더욱 새롭고 재미있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선보이며 팀 네이버의 글로벌 인지도와 위상이 더욱 높아질 수 있는 계기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남선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네이버의 포쉬마크 인수 가격이 비싸지 않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CFO는 “최근에 거래되는 유사 업체들의 사례와 경영권 프리미엄을 살폈을 때 적정 가격의 범위 안에 포쉬마크가 들어온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포쉬마크의 주요 경쟁사인 디팝이 약 16억 달러에 인수됐다며 당시 디팝의 매출이 포쉬마크의 5분의 1도 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포쉬마크를 16억 달러에 인수하게 된 것은 굉장히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CFO는 고금리와 고환율 등 거시경제 환경이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적정 인수 시기라고 보느냐는 질문에 “요즘 같은 환경에서는 포쉬마크 본업의 내생적 변수보다는 외생적 변수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며 “오히려 자본시장 등 외형상의 밸류에이션이 많이 낮아진 상황에서 좋은 회사를 매력적인 가격에 인수할 좋은 기회였다”고 말했다.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