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KAI)가 하반기에 군수부문을 중심으로 수주를 회복할 것으로 전망됐다.
윤관철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13일 “한국항공우주가 수리온 3차, 상륙기동헬기 양산 등 하반기에 군사부문에서 수주를 회복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 하성용 한국항공우주산업 사장. |
방위사업청은 해병대에서 운용할 상륙기동헬기 사업도 5월에 통과시켰다. 이 사업은 2016년부터 2013년까지 약 9600억 원을 투자해 해병대의 입체고속상륙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상륙기동헬기를 확보하는 사업이다.
한국항공우주는 이른 시일 안에 양산 본계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생산에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윤 연구원은 한국항공우주가 올해 군수부문에서 3조2천억 원, 완제기부문에서 1조6천억 원, 기체부품부문에서 1조7천억 원 등 모두 6조5천억 원을 신규로 수주할 것으로 봤다.
한국항공우주는 1분기 말 기준으로 수주잔고가 17조6천억 원에 이른다. 한국항공우주가 지난해 3조 원에 가까운 매출을 냈던 점을 고려하면 수주잔고를 6.5년치를 확보해놓은 셈이다.
윤 연구원은 한국항공우주가 미국 공군의 노후 고등훈련기(T-X) 교체 사업으로 중장기 성장동력을 마련해나갈 것으로 전망했다.
T-X사업은 미국 공군의 노후훈련기 350대를 교체하는 사업으로 약 9조 원 규모의 대규모사업이다. 미국 해군 등 후속물량까지 합하면 규모가 38조 원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T-X사업의 입찰제안은 12월로 예정돼있다. 미국은 2017년 상반기에 제안서를 평가한 뒤 하반기에 기종을 선정하고 계약을 체결하기로 했다.
윤 연구원은 “경쟁입찰이라 진행과정을 지켜볼 필요가 있지만 현재 상황으로는 한국항공우주가 유리한 모습”이라며 “대규모 사업으로 여러 가지 변수가 혼재해 있어 신중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