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그룹 계열사인 국내 1위 물리보안업체 에스원의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에스원은 안정적으로 매출이 성장하고 있지만 인건비 등 비용지출이 많아 새로운 성장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2일 에스원 목표주가를 기존 9만5천 원에서 7만5천 원으로 낮춰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1일 에스원 주가는 5만6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연구원은 “인건비, 판관비 등의 비용이 상승하고 있어 수익성이 나빠지고 있다”며 “비용 상승 이상의 매출 성장을 위해 보다 큰 성장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에스원은 2022년 상반기 매출 1조2160억 원, 영업이익 1110억 원을 올렸다. 2021년 상반기보다 매출은 6.4%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5% 줄었다.
이는 판관비와 인건비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에스원은 올해 상반기 판관비로 1983억 원을 지출했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12.6% 늘었다.
올해 상반기 에스원 직원에게 지급한 급여총액도 지난해 상반기보다 4.4% 증가한 2150억 원에 이른다.
하지만 이같은 비용 상승에도 에스원은 기존 사업에서 매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원은 에스원이 시스템보안부문에서 가입자 수를 꾸준히 늘리고 있고 통합보안부문에서도 삼성그룹 계열사 기반으로 솔루션 공급을 확대하며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바라봤다.
또 건물관리부문에서도 신규사업장 증가에 따른 매출 상승도 이어질 것으로 관측했다.
에스원은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4854억 원, 영업이익 2027억 원을 올릴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보다 매출은 7.5%, 영업이익은 12.8% 늘어나는 것이다. 최영찬 기자
에스원은 안정적으로 매출이 성장하고 있지만 인건비 등 비용지출이 많아 새로운 성장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 에스원은 안정적으로 매출이 성장하고 있지만 인건비 등 비용지출이 많아 새로운 성장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보안 전시회에 참여한 에스원 부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2일 에스원 목표주가를 기존 9만5천 원에서 7만5천 원으로 낮춰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1일 에스원 주가는 5만6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연구원은 “인건비, 판관비 등의 비용이 상승하고 있어 수익성이 나빠지고 있다”며 “비용 상승 이상의 매출 성장을 위해 보다 큰 성장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에스원은 2022년 상반기 매출 1조2160억 원, 영업이익 1110억 원을 올렸다. 2021년 상반기보다 매출은 6.4%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5% 줄었다.
이는 판관비와 인건비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에스원은 올해 상반기 판관비로 1983억 원을 지출했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12.6% 늘었다.
올해 상반기 에스원 직원에게 지급한 급여총액도 지난해 상반기보다 4.4% 증가한 2150억 원에 이른다.
하지만 이같은 비용 상승에도 에스원은 기존 사업에서 매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원은 에스원이 시스템보안부문에서 가입자 수를 꾸준히 늘리고 있고 통합보안부문에서도 삼성그룹 계열사 기반으로 솔루션 공급을 확대하며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바라봤다.
또 건물관리부문에서도 신규사업장 증가에 따른 매출 상승도 이어질 것으로 관측했다.
에스원은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4854억 원, 영업이익 2027억 원을 올릴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보다 매출은 7.5%, 영업이익은 12.8% 늘어나는 것이다. 최영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