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정보기술(IT) 기업 가운데 상반기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최고경영자는 조수용, 여민수 전 카카오 공동 대표이사로 나타났다.

17일 카카오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2022년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조수용, 여민수 전 대표는 각각 361억4700만 원, 332억1700만 원을 보수로 받았다. 
 
카카오 전 대표 조수용 여민수 상반기 300억대 보수, 네이버 최수연 8억

▲ 카카오 여민수(왼쪽)·조수용 전 공동대표이사


급여와 상여, 퇴직금뿐 아니라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행사에 따른 이익도 포함된 금액이다.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을 제외하면 여 전 대표는 23억900만 원, 조 전 대표는 13억9300만 원을 받았다.

홍은택 카카오 현 각자대표는 41억2천900만 원을 받았다.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을 제외하면 32억4800만 원을 수령했다.

대표 선임 당시 카카오 주가가 15만 원이 될 때까지 최저임금만 받겠다고 했던 남궁훈 현 각자대표는 보수가 5억 원 미만이라 공개되지 않았다.

창업자인 김범수 전 카카오 이사회 의장은 6억2천600만 원을 받았다.

네이버에서는 최수연 대표이사가 올해 상반기 보수로 모두 7억9900만 원을 받았다. 

최 대표이사의 보수는 급여 3억 원, 상여 4억9500만 원, 기타 근로소득 400만 원으로 구성됐다.

네이버는 “최수연 대표이사가 회사의 장기성장을 위한 전환기에 관한 목표를 이사회로부터 부여받은 것을 감안해 보수 총액에서 급여 항목보다는 회사의 중장기성장과 관련이 있는 상여 항목의 비중을 높게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 채선주 대외·ESG정책 대표(전 최고커뮤니케이션책임자)는 16억5600만원을 받았다.

이밖에 네이버는 창업자인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에게 11억4700만 원을, 한성숙 유럽사업개발 대표(전 최고경영자)에게 21억 원,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전 최고재무책임자)에게 15억3700만 원을 각각 지급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