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대우조선해양이 호주 자원개발업체로부터 해양플랜트 공정 지연, 공사 미완료에 관한 이의제기를 받았다.
대우조선해양은 호주 인펙스의 ‘FPSO 공정 지연, 공사 미완료에 관한 이의(claim)제기 및 중재신청’이 국제상업회의소(ICC)에 접수됐다고 5일 공시했다.
인펙스는 대우조선해양이 2017년 호주 해상에 설치한 부유식 원유 해상 생산설비(FPSO)의 생산을 위한 준비가 지연됐고 설비에 하자가 있다는 이유로 이의제기 및 중재신청을 했다.
청구금액은 9억7천만 달러(약 1조2천억 원)이다.
이와 관련해 대우조선해양은 계약 이행 과정에서 발생한 변동사항과 관련해 양측이 이미 합의한 뒤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이에 인펙스 주장은 근거가 없을 뿐 아니라 금액이 과장됐다고 설명했다.
이 FPSO는 2012년 3월 계약돼 대우조선해양에서 5년 동안의 공사를 거쳐 2017년 7월 옥포조선소를 출항했다. 2019년 6월 호주 현지에서 생산을 위한 준비를 마치고 인도됐으며 현재 액화천연가스(LPG), 액화석유가스(LPG), 콘덴세이트를 생산 및 수출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회사에 미치는 재무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당사의 계약상 잔금 회수를 위해 중재 절차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장상유 기자
대우조선해양은 호주 인펙스의 ‘FPSO 공정 지연, 공사 미완료에 관한 이의(claim)제기 및 중재신청’이 국제상업회의소(ICC)에 접수됐다고 5일 공시했다.
▲ 대우조선해양은 호주 자원개발업체 인펙스로부터 FPSO 공정 지연 및 공사 미완료에 관한 이의제기 및 중재신청이 국제상업회의소(ICC)에 접수됐다고 5일 공시했다.
인펙스는 대우조선해양이 2017년 호주 해상에 설치한 부유식 원유 해상 생산설비(FPSO)의 생산을 위한 준비가 지연됐고 설비에 하자가 있다는 이유로 이의제기 및 중재신청을 했다.
청구금액은 9억7천만 달러(약 1조2천억 원)이다.
이와 관련해 대우조선해양은 계약 이행 과정에서 발생한 변동사항과 관련해 양측이 이미 합의한 뒤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이에 인펙스 주장은 근거가 없을 뿐 아니라 금액이 과장됐다고 설명했다.
이 FPSO는 2012년 3월 계약돼 대우조선해양에서 5년 동안의 공사를 거쳐 2017년 7월 옥포조선소를 출항했다. 2019년 6월 호주 현지에서 생산을 위한 준비를 마치고 인도됐으며 현재 액화천연가스(LPG), 액화석유가스(LPG), 콘덴세이트를 생산 및 수출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회사에 미치는 재무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당사의 계약상 잔금 회수를 위해 중재 절차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