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카카오게임즈가 2분기에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냈지만 지배구조 측면에서 투자 매력이 약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4일 “카카오게임즈는 실적과 신작, 신사업 등 주가 차별화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음에도 주가 흐름이 동종기업과 비교해 부진하다”며 “이는 라이온하트스튜디오 상장 우려에 기인하는 문제다”라고 바라봤다.
모바일게임 오딘의 개발사인 라이온하트스튜디오는 7월22일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청구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했다.
통상적 기업공개 과정을 거친다면 11월~12월경에는 상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연구원은 “카카오게임즈 영업이익의 65%를 차지하는 핵심 현금창출원(캐시카우) 사업이 별도법인으로 상장되는 형태다”라며 “중복 상장에 따른 적정 기업가치의 할인 이슈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카카오게임즈는 2022년 6월 말 기준으로 라이온하트스튜디오 지분 24.6%를 들고 있다. 해외 계열사가 확보한 라이온하트스튜디오의 지분을 포함하면 지분율이 55%까지 높아진다.
카카오게임즈는 2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3388억 원, 영업이익 810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집계했다고 3일 공시했다. 2021년 2분기보다 매출은 161.7%, 영업이익은 900.2% 늘어난 것이며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이다.
오딘의 대만 출시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김 연구원은 “카카오게임즈의 영업이익률은 23.9%로 사상 최대치를 큰 폭으로 갈아치웠다”며 “오딘 실적의 연결 편입 효과로 격상된 이익률이 유지 및 향상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하반기 실적 전망도 좋다.
카카오게임즈가 6월20일 출시한 새 게임 ‘우마무스메프리티더비(우마무스메)’는 안정적 흥행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국내 매출 순위 6~7위권을 유지하고 있어 분기마다 600억~700억 원의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 연구원은 “하반기 기대작으로 수집형 역할수행게임(RPG) 에버소울과 액션 RPG 프로젝트아레스 등도 포진하고 있어 카카오게임즈의 신작 기대감은 연말로 가며 점증하는 구조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카카오게임즈는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4044억 원, 영업이익 3029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보다 매출은 38.7%, 영업이익은 165% 늘어나는 것이다. 남희헌 기자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4일 “카카오게임즈는 실적과 신작, 신사업 등 주가 차별화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음에도 주가 흐름이 동종기업과 비교해 부진하다”며 “이는 라이온하트스튜디오 상장 우려에 기인하는 문제다”라고 바라봤다.
▲ 오딘 개발사 라이온하트스튜디오의 상장 문제가 카카오게임즈 주가에 발목을 잡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사진은 카카오게임즈 사옥 내부 모습. <카카오게임즈>
모바일게임 오딘의 개발사인 라이온하트스튜디오는 7월22일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청구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했다.
통상적 기업공개 과정을 거친다면 11월~12월경에는 상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연구원은 “카카오게임즈 영업이익의 65%를 차지하는 핵심 현금창출원(캐시카우) 사업이 별도법인으로 상장되는 형태다”라며 “중복 상장에 따른 적정 기업가치의 할인 이슈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카카오게임즈는 2022년 6월 말 기준으로 라이온하트스튜디오 지분 24.6%를 들고 있다. 해외 계열사가 확보한 라이온하트스튜디오의 지분을 포함하면 지분율이 55%까지 높아진다.
카카오게임즈는 2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3388억 원, 영업이익 810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집계했다고 3일 공시했다. 2021년 2분기보다 매출은 161.7%, 영업이익은 900.2% 늘어난 것이며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이다.
오딘의 대만 출시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김 연구원은 “카카오게임즈의 영업이익률은 23.9%로 사상 최대치를 큰 폭으로 갈아치웠다”며 “오딘 실적의 연결 편입 효과로 격상된 이익률이 유지 및 향상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하반기 실적 전망도 좋다.
카카오게임즈가 6월20일 출시한 새 게임 ‘우마무스메프리티더비(우마무스메)’는 안정적 흥행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국내 매출 순위 6~7위권을 유지하고 있어 분기마다 600억~700억 원의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 연구원은 “하반기 기대작으로 수집형 역할수행게임(RPG) 에버소울과 액션 RPG 프로젝트아레스 등도 포진하고 있어 카카오게임즈의 신작 기대감은 연말로 가며 점증하는 구조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카카오게임즈는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4044억 원, 영업이익 3029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보다 매출은 38.7%, 영업이익은 165% 늘어나는 것이다.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