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자동차그룹이 하반기 생산이 안정화되고 미국에서 실적도 지속해서 확대할 것으로 전망됐다.
조수홍 NH투자증권 연구원은 3일 "미국 시장에서 현대차그룹의 신뢰성 있는 중장기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7월 현대차그룹의 미국 자동차 판매는 반도체 등 부품 부족에 따라 2021년 7월보다 11.6% 줄어든 약 12만8283 대로 감소세를 지속했다. 7월 미국 자동차 판매량은 현대차가 6만5834대, 기아가 6만2449대로 1년 전보다 각각 10.6%, 10.9% 감소했다.
다만 현대차그룹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11.2%로 선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달리 토요타를 제외한 일본 자동차기업의 7월 미국 시장 합산 점유율은 10.6%(혼다 6.2%, 닛산 4.4%)로 하락 추세를 나타냈다.
7월 미국시장 평균 인센티브(완성차업체가 딜러에게 지급하는 판매장려금)는 1177달러로 지난달 보다 6.0% 올라 상승세로 전환했다. 주요 완성차 업체 가운데는 일본기업(토요타, 혼다, 닛산)과 스텔란티스의 지난달 대비 인센티브 상승폭이 컸다.
현대차·기아의 인센티브는 각각 503달러, 563달러를 기록했다. 지난달보다 현대차는 3.3% 오르는 데 머물렀고 기아는 오히려 3.3% 하락했다.
재고 부족 상황이 지속하면서 미국 자동차 인센티브는 201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하락했었으나 하반기 생산이 안정화되는 과정에서 인센티브는 지금보다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현대차그룹은 인센티브 정상화 과정에서도 실적을 개선할 것으로 전망됐다.
조 연구원은 "하반기 공급 개선이 예상되나 빠듯한 재고 상황은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과거보다 매우 낮은 수준의 인센티브 레벨이 유지되는 가운데,생산 회복 과정에서 가동률 개선 효과가 손익에 더 긍정적 영향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시장에서 신뢰성 있는 중장기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조 연구원은 "제품 및 브랜드 경쟁력 개선, 전용 전기차 플랫폼 E-GMP 기반 차종(아이오닉 5, EV6)의 성공적 론칭, 미국 내 전기차 현지 생산체제 구축 등에 힘입어 미국 시장에서 경쟁사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나은 현대차그룹의 구조적 개선 추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허원석 기자
조수홍 NH투자증권 연구원은 3일 "미국 시장에서 현대차그룹의 신뢰성 있는 중장기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 3일 현대차그룹이 하반기 생산이 안정화되는 가운데 미국에서 실적을 개선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은 서울 양재동 현대차와 기아 본사.
7월 현대차그룹의 미국 자동차 판매는 반도체 등 부품 부족에 따라 2021년 7월보다 11.6% 줄어든 약 12만8283 대로 감소세를 지속했다. 7월 미국 자동차 판매량은 현대차가 6만5834대, 기아가 6만2449대로 1년 전보다 각각 10.6%, 10.9% 감소했다.
다만 현대차그룹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11.2%로 선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달리 토요타를 제외한 일본 자동차기업의 7월 미국 시장 합산 점유율은 10.6%(혼다 6.2%, 닛산 4.4%)로 하락 추세를 나타냈다.
7월 미국시장 평균 인센티브(완성차업체가 딜러에게 지급하는 판매장려금)는 1177달러로 지난달 보다 6.0% 올라 상승세로 전환했다. 주요 완성차 업체 가운데는 일본기업(토요타, 혼다, 닛산)과 스텔란티스의 지난달 대비 인센티브 상승폭이 컸다.
현대차·기아의 인센티브는 각각 503달러, 563달러를 기록했다. 지난달보다 현대차는 3.3% 오르는 데 머물렀고 기아는 오히려 3.3% 하락했다.
재고 부족 상황이 지속하면서 미국 자동차 인센티브는 201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하락했었으나 하반기 생산이 안정화되는 과정에서 인센티브는 지금보다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현대차그룹은 인센티브 정상화 과정에서도 실적을 개선할 것으로 전망됐다.
조 연구원은 "하반기 공급 개선이 예상되나 빠듯한 재고 상황은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과거보다 매우 낮은 수준의 인센티브 레벨이 유지되는 가운데,생산 회복 과정에서 가동률 개선 효과가 손익에 더 긍정적 영향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시장에서 신뢰성 있는 중장기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조 연구원은 "제품 및 브랜드 경쟁력 개선, 전용 전기차 플랫폼 E-GMP 기반 차종(아이오닉 5, EV6)의 성공적 론칭, 미국 내 전기차 현지 생산체제 구축 등에 힘입어 미국 시장에서 경쟁사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나은 현대차그룹의 구조적 개선 추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허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