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에코플랜트가 하수찌꺼기, 음식물쓰레기 등에서 수소를 직접 생산하는 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SK에코플랜트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박정훈 박사 연구팀), 연세대학교(김상현 교수 연구팀)와 미래수소원천기술 개발사업을 수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연구재단에서 국책과제로 지원한다.
 
SK에코플랜트, 하수찌꺼기에서 곧장 수소 생산하는 기술 개발 착수

박경일 SK에코플랜트 대표이사 사장. 


SK에코플랜트 공동연구팀은 이번 국책과제에서 미생물 반응을 통해 하수찌꺼기, 음식물쓰레기 등 유기물 함량이 높은 유기성폐자원을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을 연구한다. 

빛이 없는 조건에서 미생물이 유기물을 먹고 분해하는 발효과정을 통해 수소를 직접 뽑아내는 방식이다.

기존에도 유기성폐자원을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 있다. 다만 먼저 메탄가스를 생산한 뒤 다시 개질과정을 거쳐 수소를 추출한다.

SK에코플랜트는 이런 과정 없이 유기성폐자원에서 직접 수소를 추출하면 생산에 필요한 시간을 기존보다 20배 이상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1천 도 이상 고온의 열에너지가 필요한 개질과정도 생략돼 화석연료 사용도 줄일 수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앞으로 5년 동안 진행하는 이번 연구에서 수소 생산에 활용할 유기성폐자원을 선정하고 시장 및 특허조사를 담당한다. 또 바이오수소 생산을 위한 원천기술 특허 및 신기술을 확보하고 사업화 방안을 제시한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SK에코플랜트의 폐기물 사업은 처리가 아닌 폐기물의 에너지화·자원화 등을 통한 순환경제 실현에 방점이 있다”며 “앞으로도 적극적 기술혁신 노력과 연구개발 활성화를 통해 환경사업 전반을 고도화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